朴대통령 비서관회의 주재
박근혜 대통령이 음식 관광을 강조했다. 창조경제의 한 사례로 꼽았다. 전임 이명박 정부 당시 드라이브를 걸었던 한식 세계화의 방만한 운영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박 대통령은 27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음식 관광 활성화’ 방안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와 농림축산식품부의 모범적 협업 사례”라면서 “아이디어가 창조경제라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자 우리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문화 융성의 사례이기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교육문화수석실이 보고한 음식 관광 활성화 방안 가운데 ▲고택·종택과 연결한 종가음식 개발 및 스토리텔링 상품화 ▲전통음식 명인과 연계한 체험상품 개발 ▲한국판 ‘미슐랭 레드 가이드’ 발간 등에 주목했다.
이에 문체부와 농식품부는 다음 달 초 종합 대책을 공동 발표할 계획이다. ‘한식 세계화’와 차별화를 이룰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또 최근 논란이 되는 ‘시간제 일자리’와 관련, “표현에서 편견을 쉽게 지울 수 없다”면서 “새 출발을 하는 마당에 공모 등을 통해 좋은 단어로 바꾸는 게 좋겠다”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고용률 70%를 달성하고 일자리를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시간제 일자리가 중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4~5시간 역량을 발휘해서 일할 수 있는 ‘시간제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겠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온종일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서 제대로 된 일자리가 아니지 않으냐는 인식이 있는데 선진국의 경우 그런 일자리가 굉장히 많고 그 일자리도 좋은 일자리들”이라고 지적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5-2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