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을 지낸 이상돈 전 중앙대 교수는 20일 국가정보원의 잇따른 국내 정치 개입 의혹과 관련, “(박근혜 대통령이) 이것을 털고 가야만 이른바 국민통합의 새 시대를 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교수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국정원의 ‘박원순 서울시장 제압’, ‘반값등록금 운동 차단’ 문건 작성 의혹에 대해 정부에 적극적 대처를 요구하며 이렇게 밝혔다.
이 전 교수는 “이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박근혜정부의 정체성을 볼 수 있는 하나의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라면서 “묵살하고 가면 MB(이명박) 정권의 연장선에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1970년대 미국에서는 CIA(중앙정보국)가 대외공작을 불법적으로 했다고 해서 상원에서 청문회를 열었다”고 예를 들면서 “국회에서 이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본다”며 청문회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어 “국정원을 상대로 한 청문회나 국정조사는 국가안보와 관계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런 사안은 국가안보와 관계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 전 교수는 “이것은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국정원의 존재 이유를 의심하게 할 정도의 사안으로, 국정원이 이명박정권 시대에 정권에 대한 비판세력을 전방위로 감시했던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것은 MB정권 전체를 심판대에 올릴만한 중대한 사안”이라면서 “법치주의와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이 전 교수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국정원의 ‘박원순 서울시장 제압’, ‘반값등록금 운동 차단’ 문건 작성 의혹에 대해 정부에 적극적 대처를 요구하며 이렇게 밝혔다.
이 전 교수는 “이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박근혜정부의 정체성을 볼 수 있는 하나의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라면서 “묵살하고 가면 MB(이명박) 정권의 연장선에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1970년대 미국에서는 CIA(중앙정보국)가 대외공작을 불법적으로 했다고 해서 상원에서 청문회를 열었다”고 예를 들면서 “국회에서 이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본다”며 청문회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어 “국정원을 상대로 한 청문회나 국정조사는 국가안보와 관계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런 사안은 국가안보와 관계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 전 교수는 “이것은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국정원의 존재 이유를 의심하게 할 정도의 사안으로, 국정원이 이명박정권 시대에 정권에 대한 비판세력을 전방위로 감시했던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것은 MB정권 전체를 심판대에 올릴만한 중대한 사안”이라면서 “법치주의와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