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근 대선 3대 학습 요소 꼽아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오는 4월 24일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에 직접 뛰어들기로 한 것은 ‘정치인 안철수’의 달라진 모습을 보여 주는 예고편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7일 안 전 교수 측근들의 말을 종합해 보면 안 전 교수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크게 세 가지의 한계를 느꼈다고 한다. 우유부단한 이미지, 단일화 프레임, 세력화가 그것으로, 다시 정치를 시작한다면 이 세 가지를 극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안 전 교수가 10월 재·보선에 출마할 것이라는 정치권의 예상과는 달리 4월 선거에 직접 나서기로 한 것도 이 같은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안 전 교수 측은 지난 대선 때와 같이 ‘야권 단일화 프레임’에 빠지는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핵심 관계자는 “안 전 교수가 돌아온다면 후보 단일화 문제를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며 “단일화 프레임에 빠지지 않고, 새로운 정치를 한다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세력과 조직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생각도 지난 대선의 학습 결과다. 한 관계자는 “4월 선거의 승리가 새 정치 세력화의 출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철수 신당’의 창당 시점도 10월 재·보선 이전으로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안 전 교수 측은 4월 선거에 대비한 사전 작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안철수재단’은 최근 ‘동그라미재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김영 이사장을 새로 선임했다. 지난해 8월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안 전 교수의 이름을 딴 안철수재단의 기부행위가 공직선거법에 위반된다는 해석을 내렸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3-03-0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