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친박계의 한 초선 의원은 13일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 기조를 바꿀 의지가 별로 없어 보이고, 바꾼다고 해도 국민들이 믿지 않을 것”이라면서 “한나라당이 어떤 메시지를 던져도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단순히 현 정권과의 차별화를 위해서가 아니라 변화를 바라는 국민의 열망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박 전 대표 중심의 신당 창당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처리 이후 신당을 포함한 다양한 개편론이 분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남권의 한 친박계 의원도 “박 전 대표가 신당의 깃발을 올리면 당장 최소 50명, 많으면 80명의 의원들이 따라갈 것”이라면서 “한나라당 내부에서 끊임없이 반박(반박근혜) 세력에 휘둘리는 것보다 소장파 등과 함께 새로운 당을 만들어 중도층을 끌어당기는 게 낫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특히 “민주당 내에서 위축된 호남의 온건파와 힘을 합쳐 영·호남 화합의 기치를 내세울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친이계의 한 의원도 “박 전 대표의 신당은 상당한 파괴력을 가질 것”이라면서 “지금은 친박계라는 울타리 때문에 박 전 대표에게 접근하기 어렵지만 새로운 길이 열리면 친이계 의원들도 헤쳐 모일 수 있는 공간이 생기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는 신당 창당이나 분당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신당설은 전혀 사실무근이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박 전 대표의 또 다른 측근 의원도 “당의 간판만 바꾸어선 다 망한다는 것은 열린우리당 실패가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면서 “한나라당이 잘못한 것이 있다면 진심으로 사과하고 새롭게 거듭나 국민에게 심판받으면 된다.”고 밝혔다.
대다수 친박계 의원은 ‘정책 차별화’를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로 꼽는다. 소득세 최고 구간 신설을 통한 부유층 증세와 비정규직 차별화 해소 등을 주장하고 있는 최다선(6선) 홍사덕 의원은 “신당 얘기는 그야말로 ‘열혈청년’들이 하는 말일 것”이라면서 “대통령과 담판도 한번 하지 않고 곧바로 신당 얘기를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당내 혁신파를 이끌고 있는 정두언 의원은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의 신당설은 가능한 얘기이나 파괴력이 없을 것이고, 박 전 대표의 신당설은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그는 “친박계가 혁신파와 함께하려면 제대로 해주길 바란다.”면서 “지난 9일 의원총회에서 친이계 의원들이 혁신파를 공격할 때 친박계는 한마디도 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신당을 얘기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1-11-1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