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실의 검경 수사권 조정 협상 라인의 담당자와 간부들이 검ㆍ경 관계자들로부터 지속적인 ‘압박전화’에 시달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총리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지난달 말 수사권 조정 업무가 국회에서 총리실로 이관된 이후 검찰과 경찰 관계자들이 해당 업무를 관장하는 담당자와 간부들에게 자신들의 입장을 관철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접촉해 왔다.
검ㆍ경 관계자들은 담당자와 간부들에게 전화를 걸어 “우리의 입장이 옳은 만큼 확실하게 반영해 달라”, “저쪽의 주장은 상당히 문제가 많다”는 등 소속 기관의 입장을 전달하면서 조정 과정에서 협조를 요청했다.
처음에는 “입장을 이해하겠다”고 응대했던 총리실측 인사들은 이들의 전화 공세가 집요하게 계속되자 휴대전화를 꺼놓거나 여직원들에게 “절대 전화를 연결하지 말라”고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접촉을 차단했다.
특히 한 간부는 검ㆍ경측의 압박 전화 때문에 장에 탈이 나서 병원까지 찾았고, 다른 간부는 협상 업무를 시작하면서 몸무게가 3㎏ 이상이나 준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전화는 실ㆍ국장급 간부는 물론 임채민 국무총리 실장 등 장ㆍ차관급 인사들에게도 쇄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실은 당초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개최하려던 회의를 중앙청사 별관이나 외부로 전격 변경하는 등 보안에도 상당한 신경을 썼던 것으로 전해졌다.
총리실 관계자는 “이해당사자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다각도로 접촉을 시도했다”며 “그러나 적절하게 차단한 결과 합의안 마련 과정에서 외부의 영향을 받은 것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일 총리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지난달 말 수사권 조정 업무가 국회에서 총리실로 이관된 이후 검찰과 경찰 관계자들이 해당 업무를 관장하는 담당자와 간부들에게 자신들의 입장을 관철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접촉해 왔다.
검ㆍ경 관계자들은 담당자와 간부들에게 전화를 걸어 “우리의 입장이 옳은 만큼 확실하게 반영해 달라”, “저쪽의 주장은 상당히 문제가 많다”는 등 소속 기관의 입장을 전달하면서 조정 과정에서 협조를 요청했다.
처음에는 “입장을 이해하겠다”고 응대했던 총리실측 인사들은 이들의 전화 공세가 집요하게 계속되자 휴대전화를 꺼놓거나 여직원들에게 “절대 전화를 연결하지 말라”고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접촉을 차단했다.
특히 한 간부는 검ㆍ경측의 압박 전화 때문에 장에 탈이 나서 병원까지 찾았고, 다른 간부는 협상 업무를 시작하면서 몸무게가 3㎏ 이상이나 준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전화는 실ㆍ국장급 간부는 물론 임채민 국무총리 실장 등 장ㆍ차관급 인사들에게도 쇄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실은 당초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개최하려던 회의를 중앙청사 별관이나 외부로 전격 변경하는 등 보안에도 상당한 신경을 썼던 것으로 전해졌다.
총리실 관계자는 “이해당사자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다각도로 접촉을 시도했다”며 “그러나 적절하게 차단한 결과 합의안 마련 과정에서 외부의 영향을 받은 것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