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와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처음으로 만났다. 지난 4·27 재·보선에서 당선돼 원내에 진입한 손 대표가 기재위를 소속 상임위로 선택함에 따라 여야의 유력한 두 대권 후보는 앞으로 경제·복지 정책을 놓고 같은 회의장에서 진검 승부를 벌일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함께 활동하게 된 손학규(왼쪽) 민주당 대표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13일 열린 기재위 전체회의에서 악수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함께 활동하게 된 손학규(왼쪽) 민주당 대표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13일 열린 기재위 전체회의에서 악수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朴, 근로빈곤층 지적 ‘자신감’
이날 박 전 대표와 손 대표 모두 복지를 강조했다. 박 전 대표는 비정규직 등 근로빈곤층 문제를 구체적으로 지적하며 정책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박 전 대표는 “4대 보험 중 한 곳에도 가입돼 있지 않은 비정규직 근로자가 382만명에 이른다.”면서 “보험 사각지대 해소가 어떤 복지정책보다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일자리 창출과 저소득층 근로복지 증진을 위해 영세 사업주와 근로자의 사회보험료 부담을 소득에 따라 차등 경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孫, 감세 철회 강조 ‘차별화’
손 대표는 감세 철회와 보편적 복지를 강조하며 현 정부는 물론 박 전 대표와 차별화를 시도했다. 손 대표는 “대기업에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방식과 토목건설로 성장을 유지하는 방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면서 “보편적 복지는 인력의 질을 높이는 미래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해 소득세와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를 철회하고 비과세 감면 제도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1-06-14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