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과이익공유제’ 여진 계속
‘정운찬발(發)’ 여권의 권력암투가 21일 잠시 소강국면에 접어든 양상이지만 여진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의 초과이익공유제 비판발언 등에 반발, 당장이라도 사퇴발표를 할 듯하던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은 일단 누그러진 분위기다. 정 위원장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여전히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동반성장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생각하겠다.”고 물러섰다. 정 위원장의 한 측근은 “(사퇴 의사가) 반보 정도 뒤로 물러났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이 사퇴 의사를 일단 접은 것은 청와대로부터 이명박 대통령의 ‘메시지’가 전달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형준 사회특보를 포함해 대통령의 뜻을 잘 아는 복수의 참모가 ‘메신저’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여러 사람이 대통령의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안다.”면서 “(사퇴 논란은) 정리되는 분위기이며, (청와대와 정 위원장이) 이심전심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여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학자 출신은 자존심을 건드리면 못 참는데 최중경 장관의 발언으로 정 위원장이 폭발한 것 같다.”면서 “처음부터 초과이익공유제를 일부에서 오해해서 생긴 해프닝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을 분당을 선거구 4·27 보궐선거에 공천하려 애쓰는 이재오 특임장관도 적극 옹호하고 나섰다. 이 장관은 21일 트위터를 통해 “동반성장, 이익이 예상보다 많이 생기면 중소기업에 기술개발비도 좀 지원해 주고 중소기업도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상생하자는 것인데 무슨 교과서에 없느니 자제해 달라느니, 그것도 알 만한 사람들이 왜 그러는지 참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듣는 지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의 이런 발언으로 볼 때 여권 핵심부가 ‘정운찬 카드’ 쪽으로 급격히 쏠리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홍준표 “사퇴 가능성 밝힌 건 鄭의 응석”

홍준표 최고위원은 정 위원장이 사퇴 가능성을 밝힌 것과 관련, “정(정운찬)의 응석”이라면서 “초과이익공유제라는 스스로 잘못 설정한 개념과 전쟁을 하고 있는 것이지, 청와대·정부와 전쟁하는 게 아니다.”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경제계 소식에 정통한 한나라당 의원은 “정 전 총리가 동반성장위원회에 자꾸 좌파 교수들을 끌어들이려 하고 있다.”면서 “초과이익공유제라는 아이디어도 그런 데서 나온 것”이라고 색깔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한나라당이 정 위원장에게 등을 돌리기는 쉽지 않다.
여전히 4·27 재·보궐 선거에서 텃밭인 성남 분당을을 사수하기 위한 ‘필승 카드’이기 때문이다. 최근 여론 흐름도 심상찮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 김현철 부소장은 “지난 주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전과는 다른 변화가 있었다.”면서 “분당을도 결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절대 엄살 부리는 게 아니다.”라고 우려했다. 이는 공천심사위원장인 원희룡 사무총장 등이 ‘정운찬 카드’를 내려놓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원 사무총장은 “만약 손학규 대표가 출마할 경우 전략공천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손 대표가 나오면 정 전 총리에게 ‘삼고초려’라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상수 대표가 이날 정 전 총리와 초과이익공유제 논란을 빚은 최중경 장관에게 “선거를 앞두고 말을 아껴야 한다.”고 당부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정운찬 분당을 영입도 찬·반 팽팽
하지만 정 전 총리를 전략공천할 경우 당내 반발을 잠재우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나경원·정두언·서병수 최고위원 등은 전략공천을 통해 정 전 총리를 내세우는 데 반대하고 있다.
홍 최고위원도 이날 “한나라당이 ‘정운찬 영입론’을 중지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정 전 총리의 출마를 굳이 반대할 이유는 없다.”는 입장이었던 홍 최고위원마저 ‘정운찬 불가론’으로 돌아서 분당을 공천 과정에서 진통이 이어질 전망이다.
김성수·장세훈기자 sskim@seoul.co.kr
2011-03-2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