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모 인식개선 거리캠페인’ 가보니

‘미혼모 인식개선 거리캠페인’ 가보니

입력 2011-05-13 00:00
수정 2011-05-13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기관리 못한 것” vs “최선의 선택일 것”

“‘혼인도 하지 않고 애를 낳는 것’이라잖아. 그런데도 동의해?”, “그들의 세계를 이해해야지. 나름대로는 그게 최선의 선택일 수도 있잖아.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해.”

이미지 확대


지난 11일 오후 2시. 서울 행당동 왕십리민자역사. ‘혼인을 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것에 동의하십니까?’라고 적힌 주황색 패널 앞에서 40대 자매가 머뭇거렸다. 언니는 “혼자서 아이를 낳아 기를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면서 ‘동의한다’고 쓰인 왼쪽 칸에 스티커를 붙였다. 한동안 생각하던 동생은 “애초에 자기관리를 못한 것 아닌가.”라며 ‘동의하지 않는다’고 쓰인 오른쪽 칸에 스티커를 붙였다.

이날 왕십리민자역사에서는 서울시 한부모가정지원센터와 성동구 건강가정지원센터가 공동 주최한 미혼모 인식개선 거리캠페인이 열렸다. 시민들은 미혼모들의 인터뷰가 담긴 다큐멘터리 영상물을 시청하고 대형 패널 위에 미혼모들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남기는 등 미혼모를 다시 생각하는 기회를 가졌다. 그러나 적지 않은 시민들이 미혼모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혼인을 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것에 동의하십니까?’라는 물음에 동의한다는 사람이 동의하지 않는다는 사람보다 3배 정도 많았다. 송윤정(28·여)씨는 “아이를 혼자 키울 수도 있는 것 아닌가. 미혼모들을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봐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학생 양대일(19)씨는 “그러지 않을 수도 있는데, 혼자서라도 소중한 생명을 낳아 기르는 미혼모들은 좋은 품성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힌 사람들은 여전히 미혼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기도 했다. 윤모(64)씨는 “사회통념상 별로 좋은 일은 아니다. 자기 관리도 못하는 여성이 낳은 아이가 떳떳하게 자라겠나.”라며 혀를 찼다. 미혼모는 아이를 제대로 키우지 못할 것이라는 고정관념도 드러났다. 한 60대 여성은 “미혼모가 아이를 책임지지 못하고 버리면 사회악이나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박근혜 서울시 한부모가족지원센터 팀장은 “전반적으로 미혼모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지만, 인터넷에서의 여론은 크게 다르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부모가족지원센터가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에 개설한 미혼모 관련 토론 게시판에는 “미혼모는 잡초”, “피임 하나 제대로 못해 놓고 징징댄다.”는 등의 부정적·비판적인 글들이 적지 않게 올라오기도 했다.


이은림 서울시의원, 서울창포원 재정비…시민 휴식·체험 공간으로 새롭게 거듭나

서울시의회 이은림 의원(국민의힘, 도봉4)은 지난 10일 ‘서울창포원 재정비 사업 준공식’에 참석해 관계자들과 함께 사업 완료를 기념하고, 시민들이 편안하게 찾을 수 있는 자연 친화적 쉼터로 새롭게 변모한 서울창포원의 출발을 함께했다. 이 의원은 “서울창포원이 단순한 공원이 아닌, 주민들이 언제든 찾아와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마무리까지 꼼꼼히 살펴왔다”면서 “특히 이번 재정비 사업은 오언석 도봉구청장의 민선 8기 공약으로 추진해 온 중요한 사업으로, 서울시와 함께 구민의 건강과 여가를 위한 공간을 마련한 의미 있는 성과”라고 강조했다. 이번 재정비는 그동안 방치되어 있던 서울창포원을 오언석 도봉구청장, 이은림 시의원, 서울시가 함께 힘을 모아 2022년부터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추진해 온 사업으로, 단순한 녹지 공간을 시민들이 직접 체험하고 머물며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이은림 의원을 비롯해 박철수 서울시 북부공원여가센터 소장, 이명희 슬기어린이집 원장 및 슬기어린이집 원아, 관계 공무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참석자들은 기념행사를 진행하며 서울창포원이 주민과 아이들의 웃음이 깃드는
thumbnail - 이은림 서울시의원, 서울창포원 재정비…시민 휴식·체험 공간으로 새롭게 거듭나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2011-05-1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