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보다 깊다, 장인의 시간

가을보다 깊다, 장인의 시간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5-10-30 23:08
수정 2015-10-31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지막 단풍 물드는 11월…명장의 숨결 함께 깃든 여행지

나라 안에는 독특한 기술을 가진 장인들이 많다. 한과에 예술혼을 불어넣고, 소리를 통해 절제의 미학을 선사하는 등 자신만의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이들이다. 가을을 맞아 이들을 찾아가는 여정을 계획하는 건 어떨까. 한국관광공사가 ‘전통문화탐방-장인을 찾아서’를 테마로 11월에 가볼 만한 곳을 추천했다. 맛과 멋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곳들이다.

제자들과 공연을 펼치고 있는 조순자(왼쪽) 명창.
제자들과 공연을 펼치고 있는 조순자(왼쪽) 명창.
●절제와 느림의 미학-여창가곡 조순자 명인

가곡(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은 45자 내외 시조를 국악 관현악 반주에 맞춰 10여분 동안 노래하는 성악곡이다. 조선 시대 풍류방에서 선비나 중인 가객이 불렀다. 시조, 가사와 함께 정가(正歌)로 분류되며, 셋 중 가장 예술성이 뛰어난 장르로 꼽힌다. 남창과 여창으로 나뉘는데,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조순자 명인은 2006년 경남 창원에 가곡전수관을 설립, 평생을 가곡 전승과 보급에 힘써왔다. 매달 마지막 주 목요일 저녁에 가곡, 기악 독주와 합주, 창작극 등으로 구성된 국악 공연도 마련한다. 상상길, 창동예술촌 등과 연계하면 창원 여정이 한결 더 풍성해진다. 창동복희집과 고려당은 지역민의 추억과 향수를 달래주는 맛집이다. 옛 마산의 술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오동동 통술골목과 마산어시장이 창동과 가깝다. 여행의 피로는 마금산원탕에서 풀면 좋다. 가곡전수관 (055)221-0109.

이미지 확대
40여 가지 도구로 사흘 동안 두드리고 깎아 만든 방짜수저 한 벌.
40여 가지 도구로 사흘 동안 두드리고 깎아 만든 방짜수저 한 벌.
●4대째 방짜수저의 가업을 잇다-김우찬 전수조교

김우찬 전수조교는 방짜수저 제작의 외길 인생을 걷는 젊은 장인이다. 16세 때 아버지에게 방짜수저 만드는 일을 배운 뒤 지금까지 가업을 잇고 있다. 쇳덩이를 두드리고 펴서 만드는 방짜수저는 모든 과정이 수작업이다. 40여 가지 도구로 사흘 동안 두드리고 깎아야 수저 한 벌이 탄생한다. 매화와 연꽃, 대나무를 새긴 방짜수저를 보면 그 아름다움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작업실은 강원 강릉 입암동에 있다. 율곡 이이가 태어난 오죽헌, 한옥의 멋을 고스란히 간직한 선교장은 지금 가을 운치로 가득하다. 안목해변 커피거리도 가을 강릉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 아이와 함께라면 다양한 전통 공예 체험을 할 수 있는 강릉예술창작인촌도 들러 봄직하다. 강릉시 관광과 (033)640-5420.

이미지 확대
전통 방식 그대로 만든 한과.
전통 방식 그대로 만든 한과.
●한과에 예술혼을 불어넣다-한과명장 김규흔

한과는 우리의 전통 과자다. 유과, 약과, 정과, 다식 등 종류가 많고 맛도 다양하다. 김규흔 명장은 한과 만들기에 평생을 바친 국가 지정 전통 한과 제조 기능 명인이다. 대한민국 한과명장 1호(약과 분야)다. 유년 시절 먹었던 한과의 제작 방식 그대로 정직하게 한과를 만들고 있다. 천편일률적이던 한과 모양에도 변화를 줬다. 연꽃 모양, 마름모꼴 등 새로운 약과를 개발했다.

한과의 세계화를 위해 경기 포천에 한과문화박물관도 개원했다. 여기서 한과 만들기 체험도 할 수 있다. 주변 산정호수는 북한 김일성이 별장을 마련해 경치를 즐긴 곳인 만큼 가을 풍경이 뛰어나다. 둘레길을 걸으며 붉은 단풍이 가득 담긴 호수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허브아일랜드는 달콤한 허브 향이 가득한 테마파크다. 국립수목원 인근의 더파크아프리카뮤지엄에서는 아프리카인의 일생과 생활 문화를 관람하고, 하루 두 번 선보이는 아프리카 전통 민속춤도 관람할 수 있다. 한가원 (031)533-8121.

이미지 확대
전통 옹기 제작의 마지막 단계인 낙관찍기.
전통 옹기 제작의 마지막 단계인 낙관찍기.
●4대 160년을 이어온 옹기 장인-황충길 명장

미세한 공기구멍이 있는 옹기. 장을 발효시키고, 김치 맛을 오래 유지시키며, 곡식을 상하지 않게 저장하고, 음식이 잘 식지 않는 ‘살아 있는’ 그릇이다. 충남 예산의 황충길 명장은 3대째 전통 기법 그대로 옹기를 빚고 있다. 아들이 20년 가까이 함께하고 있으니 4대, 160년에 이르는 장수 가업이다. 1990년대 들어 옹기 수요가 줄면서 문 닫는 옹기점이 많았으나, 냉장고용 김칫독을 발명해 위기를 기회로 삼았다. 천연 재료를 숙성시킨 잿물로 아름답게 구운 명장의 옹기가 가을 햇살에 따사로이 빛난다.

천연기념물 제199호 황새를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예산황새공원, 서예의 대가 추사 김정희가 태어나고 자란 김정희 고택, 천년 고찰의 멋과 위엄을 갖춘 수덕사, 한옥에서 운치 있는 하룻밤을 보내는 교촌한옥문화체험관 등 예산은 역사와 전통문화의 멋을 만끽하는 여행지다. 전통예산옹기 (041)332-9888.

이미지 확대
장주원 장인이 제작한 옥공예품.
장주원 장인이 제작한 옥공예품.
●종주국을 뛰어넘은 옥공예 대가-장주원 옥장

장주원(중요무형문화재 제100호) 옥장은 옥공예 종주국으로 꼽히는 중국에서도 인정한 대가다. 전남 목포의 옥공예전시관에는 그가 오랜 세월 정성을 다해 만든 수많은 작품이 전시돼 있다. 수십 년 동안 옥과 함께해 온 장인의 고집스러운 인생이 엿보인다. 전시관 위쪽 판매관에서 다양한 옥 장신구도 판매한다. 인근의 목포문학관은 목포를 대표하는 문학인 4인(박화성, 김우진, 김현, 차범석)을 집중 조명한 4인 복합 문학관이다. 목포 갓바위 문화타운 끝자락에는 ‘목포의 아이콘’ 갓바위가 있다. 가족 나들이 코스라면 입암산 둘레길을 추천한다. 제철 별미로는 목포 5미(味) 가운데 하나인 세발낙지가 꼽힌다. 연포탕으로 즐길 수 있다. 목포의 독특한 맛을 원한다면 홍어삼합이 제격이다. 밤바다를 수놓는 목포 춤추는 바다분수도 놓치지 말자. 목포시 관광과 (061)270-8432.

이미지 확대
각궁 장인이자 국궁 사범인 권무석 장인.
각궁 장인이자 국궁 사범인 권무석 장인.
●각궁을 넘어 활의 문화를 짓다-궁장 권무석

권무석(서울시 무형문화재 제23호) 궁장 집안은 약 300년 전 조선 숙종 때부터 경북 예천에서 각궁을 만들었다. 권 궁장이 12대, 아들 오정씨가 13대째다. 권 궁장은 어릴 때부터 각궁 만드는 일을 도왔다. 그러다 16세 때 집을 나가 우체국 공무원, 버스 기사로 살았다. “활의 대가 끊겼다”는 형 영호씨의 말을 듣고 고심하다가, 37세에 다시 활 만드는 길로 들어섰다.

권 궁장은 각궁 제작에만 머물지 않았다. 전통 활쏘기 기능 보유자인 고 장석후 장인에게 전통 사법을 배웠고, ‘국궁의 교범’이라는 책도 냈다. 1994년 국궁문화대축제를 기획했으며, 육군사관학교와 경찰대학에서 궁도를 가르쳤다. 권 궁장에게 각궁을 만드는 일은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과 정신을 지키고 보존하는 일이다. 서울무형문화재 돈화문 교육전시장 (02)741-1303.

김혜지 서울시의원, 명일중 간담회에서 학교환경개선 논의

서울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및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지난 16일 개교 후 40년이 지난 강동구 명일중학교의 학교 환경개선을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학부모, 학교관계자와 함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전주혜 당협위원장, 김혜지 서울시의원 및 지역 정치인들이 다수 참석했고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회, 학부모위원, 교원위원, 지역위원, 학교장 등이 참석해 명일중학교의 환경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현황을 설명하고 사안별 해결 방안을 각각 제시했다. 명일중학교 교장(이형엽)과 관계자는 시급하게 환경개선이 필요한 6가지 사업으로 ▲본관동 화장실 개선사업(5억 2000만원 예상) ▲교실 내부 도장(8500만원 예상) ▲시청각실 개선(1억 2000만원 예상) ▲체육관 보수 추가(1억 5000만원 예상) ▲교실 베란다 방수(5000만원 예상) ▲옥상 난간대 보완사업(5000만원 예상)을 제시했다. 특히 현재 화장실은 노후가 심각해 2024년 천정에서 벽돌 크기의 콘크리트 덩어리가 떨어져 세면대가 깨지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좌변기의 수가 턱없이 부족해 학생들은 생리현상을 줄이기 위해 급식을 먹지 않거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명일중 간담회에서 학교환경개선 논의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10-3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