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염 前 서강대 교수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조계종 대해 스님 ‘화엄경 번역본’
어렵기로 소문난 그리스도교 고전과 불교 경전이 나란히 우리말로 번역 출간됐다. 주교황청 대사(2003~2007년)를 지낸 성염 전 서강대 교수가 펴낸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과 조계종 국제선원장 대해 스님의 화엄경 번역본이 그것이다. 화엄경과 그리스도교 최고 고전인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을 각각 종교계의 소문난 실력자들이 우리말로 알기 쉽게 풀어냈다.
연합뉴스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의 라틴어 원문을 한국어로 직접 옮긴 성염 전 서강대 교수
연합뉴스
연합뉴스

성염 前 서강대 교수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아우구스티누스는 1500년 전 인물이지만 여전히 현대적 의미가 크다”는 성 전 교수는 지금도 유효한 ‘고백록’의 의미를 ‘진리에의 열정’이라고 못박았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를 번역하는 자체가 의미 있고 원문 번역의 시대적 필요성 때문에 착수했단다. 성 전 교수는 “아우구스티누스는 1500년 전 ‘정의 없는 국가는 강도떼’라고 발언할 만큼 사회 교리의 토대를 마련했다”면서 “‘인간이란 그 자체가 실로 위대한 심연’이라며 고백록을 시작한 그는 인간이란 사랑이라는 결론으로 나아간다”고 설명했다. “인간의 본질은 사랑이며, 개인이든 인류 집단이든 사회적 사랑을 하면 구원받고 사사로운 사랑으로는 멸망한다는 경고는 철학적 탐구를 통해야 가능합니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아직도 읽히는 이유이지요.”

연합뉴스
화엄경 80권본을 한글로 완역해 60권으로 풀어낸 조계종 국제선원장 대해 스님.
연합뉴스
연합뉴스

조계종 대해 스님 ‘화엄경 번역본’
화엄경은 우주의 삼라만상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생겨나는 일이 없이 서로의 원인이 되어 상호 의존적이며 일체가 곧 하나인 관계임을 알려 준다. 그래서 대해 스님은 그 화엄경을 ‘인간사용설명서’라면서 “인간 본질에 대한 설명서인 화엄경을 읽으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바로 알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처음에 돈을 모으기 어려워도 조금씩 모으다 보면 쌓이듯이 화엄경도 반복해 읽다 보면 결코 어려운 게 아니다”라고 귀띔한다. 특히 “화엄경은 부처님께서 인간의 근원적 해결을 위해 찾아들어간 사라지지 않는 본질에 대한 이야기다. 현상은 변하지만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며 “사람들이 현상 중심으로 살기 때문에 고통을 받는다”고 전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6-05-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