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의 시대, 마음..............빈틈........채우는 축복 같은.........그대.......................친구에게

거.....리....두..............기의 시대, 마음..............빈틈........채우는 축복 같은.........그대.......................친구에게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6-30 17:50
수정 2020-07-01 02: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해인 신작 산문집 ‘친구에게’

이미지 확대
ⓒ이규태
ⓒ이규태
우정 관련 글 다듬고 일부 새로 써
학창시절·수녀원 입회 뒤·독자 등
여러 친구들에게 위로의 말 전해
“지금 바로 마음을 표현해라” 당부


코로나19 시대에 가장 잃기 쉬운 인간관계는 ‘친구’다. 가족이라는 혈연으로 묶이지도, 연인이라는 애련으로 엮이지도 않은 사이. 철저히 서로의 관심으로만 엮이는 관계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대에 가장 소홀하기 쉽다.
이미지 확대
이해인 수녀  ⓒ현관욱
이해인 수녀
ⓒ현관욱
이해인(75) 수녀의 신작 에세이 ‘친구에게’(샘터)는 지난 반세기 동안 쓴 산문들 가운데 친구와의 우정에 관한 것만 골라 가다듬었다. 일부 새롭게 쓴 글도 있다. ‘머리글’에 그는 어느 한 사람이 아닌 인생의 친구 여럿을 염두에 두고 쓴 글이라고 밝혔다. 어린 시절 동무들, 학창 시절에 만난 친구들, 수녀원에 입회해 만난 동료들, 오래된 독자들, 영적 도움을 준 친지와 사제들, 편지로 꾸준히 만남을 이어 온 해외 독자 등이다. ‘이 모든 친구들이 저에게 다정한 애인이며 은인, 도반이며 수련장, 그리고 때로는 엄중한 스승의 역할도 해 주었습니다’(5쪽)라고 그는 썼다.

총 32편의 글은 어려운 시기 우정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다시금 깨닫게 한다. 친구는 내가 ‘누구를 흉보려고 하면 어느새 다른 이야기로 돌려서 나쁜 말을 못 하게’(42쪽) 하고, ‘나도 잊어버린 말을 잘도 기억’(44쪽)한다.

“관심 있으면 잘 듣게 돼. 그러니까 친구잖아”라는 말에는 대꾸할 말이 없다. 수도자로, 시인으로서의 삶을 산 수녀가 쌓아 올린 우정에는 인간적인 면과 함께 범부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도저한 면이 있다. ‘나도 없는 여행길에서 네가 다른 사람들과/웃고 이야기하는 것을 질투하다가/많은 이들이 너를 좋아하는 것이 나에게도 선물이 된다 생각하니/마음이 편안해졌어.’(46쪽)

수녀는 ‘머리글’에서 코로나19 사태 속 인간관계의 의미를 되새겼다. 그는 소중한 이들을 위해 물리적 거리두기를 잘 지키면서도 마음을 멀리하거나 미루는 일은 없어야겠다고 말한다. ‘서로가 서로에게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존재임을 그 어느 때보다도 깊이 절감하는 날들입니다. 내가 누군가의 친구가 되고, 또 누군가 나의 친구가 되는 기쁨이야말로 살아서 누리는 가장 아름다운 축복일 것입니다.’(6~7쪽)

그가 말하는 축복의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지금 바로 상대에게 마음을 표현하면 된다. 짧은 글에 어울리는 수채화 같은 그림은 일러스트와 만화,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이규태씨가 그렸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7-0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