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의 13일, 한 권의 역사가 되다

각자의 13일, 한 권의 역사가 되다

박록삼 기자
입력 2015-06-12 23:52
수정 2015-06-13 0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 역사는 깊다/전우용 지음/푸른역사/1권 332쪽, 2권 352쪽/1권 1만 6500원, 2권 1만 7500원

그는 예언한다. 당신의 오늘 하루는 머지않은 훗날 유장한 역사의 한쪽이 된다고. 멀리 볼 것 없다. 2009년 5월 23일 화창했던 그 토요일은 어땠는가. 그날 오전 시간 느지막하게 아침밥을 먹고 게으름을 한껏 즐기고 있었을 수도 있고, 부지런한 가장은 아이들 손잡고 놀이공원의 분주한 행렬에 합류해 있었을 수도 있다. 이날은 노무현 대통령 서거일이다. 6년이 흐른 지금까지 한국 사회의 살아 있는 화두로 남아 있는 역사 속 하루가 됐다. 지난해 4월 16일은 말할 것도 없다. 대참사의 소식을 접했던 그 순간은 자신의 일상 속 한 토막과 엉켜 또렷이 머릿속에 남게 됐다. 그 순간을 기억하는 방식과 그 기억을 소환해 내는 자세에 따라 역사를 대하는 당신의 입장은 이미 드러나 있고, 상당 부분 결정된다.

이미지 확대
일제강점기 주정공장 모습.  푸른역사 제공
일제강점기 주정공장 모습.
푸른역사 제공


이미지 확대
1928년 서울에 처음 등장한 경성부영버스와 여차장. 푸른역사 제공
1928년 서울에 처음 등장한 경성부영버스와 여차장.
푸른역사 제공


짐짓 부담 가질 이유는 없다. 이리 무겁고 심각한 사안만이 아니라 우리네 생활속 깊숙이 들어와 있는 자잘한 것들, 예컨대 귀성 풍습의 기원, 종로경찰서 옆에 변소를 설치한 일, 예방 접종의 시작, 새로운 거리 이름이나 동네 이름 발표, 전등 시대의 개막, 위생 관념의 확산, 대중교통 수단의 도입 등도 역사의 구성 요소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1년 365일 중 ‘60개의 오늘’을 골랐다. 삶에 밀착된 소소한 일들이 모이고 모여서 식민지 시절의 설움이 담긴 민초들의 민속풍습사, 해방 이후의 행정사, 문화사, 경제사, 정치사 등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역사에 대한 기존의 선입견에서 벗어나 보통 사람들의 삶 속에 녹아든 역사의 의미를 생각하게 해 준다. 이 과정에서 얻게 되는 깨알 같은 잡학들은 덤이다.

60개의 오늘 중 몇날을 들여다보자. 4월 7일(1937년) 조선총독부의 방침에 따라 값싼 알코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비록 고급술의 대명사와 같던 증류 소주가 아닌, 희석식 알코올주이긴 하지만 서민들이 값싸게 소주를 들이켤 수 있게 된 시발점이 된 날이다. 6월 16일(1896년)에는 ‘대조선은행’ 창립 준비 모임이 열렸다. 세금 납부 등 국고금을 위한 중앙은행 성격을 지향했지만 민간 자본으로 운영되는 일반 상업은행에 그쳤다. 이를 통해 개화기 자본주의 맹아로 싹을 틔운 금융업에 대한 역사 및 공공성을 상실한 은행의 현재 모습까지 짚어 본다. 대한제국 시기 설립된 대한천일은행의 조선상업은행→한국상업은행→한빛은행→우리은행까지의 변천사를 엿볼 수 있다. 한성은행은 조흥은행→신한은행으로 바뀌었다.
이미지 확대


12월 3일(1885년)은 1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기억하고 곱씹어볼 만한 이유가 있는 하루였다. 국경 획정을 위한 조선과 청나라의 회담이 20여일의 격론 끝에 결렬됐다. 1712년부터 시작된 조선과 청 사이 국경 문제의 기원을 거슬러 오르면 1900~1903년 압록강, 두만강 이북 간도 땅을 대한제국이 행정관할권 아래 뒀음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곡절 끝에 일제강점기 청나라와 일본이 맺은 간도협약으로 중국 땅이 되고 말았다. 간도협약은 이미 무효가 됐다. 하지만 저자는 지금 간도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이탈리아인들이 고대 로마 제국의 영토를 되찾겠다고 나서는 꼴이며, 몽골인들이 칭기즈칸 시대의 권역을 회복하겠다고 나서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중국의 동북공정, 일본의 독도 문제에 올바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역사를 보는 눈은 이렇듯 냉철해야 한다.

역사학은 윤리학이 아니다. 하지만 이것만큼은 역사가 개인에게 주는 정언명령이다. 당신의 오늘이 모여 역사가 된다. 당신의 오늘을, 타인의 오늘과 어떻게 교직해 어떤 역사를 만들 것인가. 역사는 인간의 집단기억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6-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