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애를 없애기 위해서는 나태하지 말고, 바보가 되지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같이, 물에 때 묻지 않는 연꽃같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숫타니파타 중에서)
종교의 경전은 흔히 ‘고전 중의 고전’으로 통한다. 많은 이들이 삶과 존재와 관련해 목숨까지 던져가며 탐구했던 본질적인 질문과 답이 함축됐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계를 움직인 위인 중에는 최고 지혜의 보고인 경전을 늘상 곁에 두고 통독한 이가 적지 않다고 한다.
‘경전 7첩 반상’은 종교의 경전 7가지를 골라 그 가운데 가장 뜻깊은 부분과 장면을 골라 맛깔나게 해설한 책이다. 기독교를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선두마차 ‘도마복음’을 비롯해 가장 초기에 이루어진 불교경전 ‘숫타니파타’, 동양 문헌 중 제일 먼저 읽어야 할 책이라는 ‘도덕경’과 ‘중용’, 한국불교 맏형인 조계종 소의경전 ‘금강경’, 인도를 넘어 세계의 고전이 된 ’바가바드 기타’, 그리고 민족종교 천도교의 ‘동경대전’이 그 텍스트들이다.
책의 특장은 자칫 ‘신자들만의 것’일 수 있는 경전 내용이 저자 체험과 어울려 손에 잡힐 듯 풀어진다는 점이다. 저자는 종교계에선 웬만한 이는 다 알만한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 개신교회와 성공회를 거쳐 3년간 출가수행을 하다 환속했고 지금은 인문, 사회, 종교, 과학, 문학, 신화 등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배우는 지식협동조합 ‘경계너머 아하!’의 운영자로 활동 중이다. “현자의 목소리에서 길을 찾아 한걸음 한걸음 걸어가다 보면 ‘내 속의 다른 나’가 싸우지 않는 진정한 내적 평화에 이를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경전을 읽는 이유를 이렇게 밝힌 저자의 말 그대로 ‘속 깊고 열린’ 종교적 체험이 어렵지 않게 느껴지는 해설서로 다가오는 책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3-1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