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 공연이 살아남는 법, 친근함
고급화 전략으로 관객들의 심리를 자극하는 대형 라이선스 뮤지컬 사이에서 중소형 뮤지컬들이 관객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친근 마케팅’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관객들이 배우를 좀 더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게 함은 물론 풍성한 기념품과 할인 행사, 이벤트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이다. 각양각색의 마케팅은 공연 못지않은 볼거리이자 즐길 거리다.
2만원을 할인해 주는 ‘디시(DC) 스페셜데이’, 대중교통을 권장하며 티켓 1+1 혜택을 주는 ‘교통카드 셀렉트’는 카드사의 뮤지컬 할인 이벤트를 패러디한 것이다. 다음달에는 ‘왕자 3인방’이 말의 걸음걸이를 흉내 내는 동작인 ‘뜨그덕 포즈’를 매표소 앞에서 취하면 40%를 할인해 주는 이벤트도 진행된다. ‘난쟁이들’의 홍보를 맡은 뮤지컬랑 엄지영 과장은 “공연 자체가 B급을 표방하기 때문에 더욱 재미있는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무대와 객석의 거리감을 좁히는 이벤트도 풍성하다. 한국전쟁 시기 거제도 포로수용소를 배경으로 하는 ‘로기수’는 매주 금요일 인터미션 시간에 무대 위에서 야시장을 연다.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 ‘배철식’이라는 북한군 포로가 민간 장사꾼들과 물물교환을 한다는 극 중 내용을 그대로 재현해 관객들이 무대에 올라 ‘배철식’ 역의 배우에게 사전에 구매한 거래권을 주고 MD상품을 받는다. 지난 1월 시범 공연을 거쳐 재공연을 준비 중인 ‘달빛요정과 소녀’는 관객들이 보내온 사연 중 하나를 선정해 라디오 DJ 역의 배우 박해준이 무대 위에서 읽어 준다.
소소한 할인에도 아이디어를 쏟아붓는다. 뱀파이어를 소재로 한 ‘마마 돈 크라이’는 헌혈증을 소지한 관객에게, 7080세대의 청춘 이야기인 ‘한밤의 세레나데’는 복고풍 의상을 입거나 복고 소품을 소지한 관객에게 티켓 가격을 할인해 준다. ‘쓰루 더 도어’는 몇몇 지정 회차를 예매하는 관객들에게 ‘엔젤 투자자’라는 자격을 주고 티켓 가격을 40% 할인해 주는 ‘엔젤클럽’을 운영 중이다. 할인 이벤트와 함께 관객들이 작품에 기여한다는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엄 과장은 “대형 뮤지컬과 비교해 중소형 뮤지컬의 마케팅 비용은 10분의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면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과를 내기 위해 아이디어로 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설앤컴퍼니 노민지 홍보과장은 “중소형, 특히 창작뮤지컬은 다양한 소재와 재기발랄한 내용이 많아 이를 부각시킬 수 있는 다채로운 이벤트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 같은 마케팅이 주로 뮤지컬 마니아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어 일반 관객들까지 끌어들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3-2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