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리뷰] 뮤지컬 ‘로빈훗’

[공연리뷰] 뮤지컬 ‘로빈훗’

입력 2015-02-02 23:54
수정 2015-02-03 0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액션·코믹·멜로 다 욕심내다… 스토리 집중력 잃어 메시지 모호

‘삼총사’와 ‘보니 앤 클라이드’ ‘프랑켄슈타인’ ‘조로’ 등 왕용범 연출과 이성준 음악감독 콤비의 뮤지컬은 스타일이 뚜렷하다. 관객들이 대극장 뮤지컬에 기대하는 요소를 정확히 간파하고 이를 두시간 반 안에 눌러 담는 것이다. 지난 23일 국내 초연된 ‘로빈훗’도 연장선상에 있다. 숲 속 로빈훗과 의적들의 활극에 기대될 법한 통쾌한 액션과 코믹, 멜로, 비장미 등을 한데 섞어내는 내공이 보인다. 그러나 모든 것을 다 담으려다 집중력을 잃기 쉽다는 한계 또한 내포한다.

이미지 확대
극은 초반부터 빠른 템포로 숨 가쁘게 달린다. 길버트가 리처드 1세를 죽이고 로빈훗의 가족이 몰살당하며 감옥에 갇힌 로빈훗을 연인인 마리안이 배신하는 일련의 사건들이 초반부터 휘몰아친다. 반역자로 몰린 로빈훗은 비장미를, “왕 하기 싫다”는 철부지 필립 왕세자는 코믹을, 셔우드 숲 속 의적들은 핍박받는 민중의 설움을 담당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고루 섞여 풍성한 1막을 완성한다.

그러나 탄탄했던 템포는 2막에 들어서 느슨해진다. 길버트와 존 왕, 마리안 등의 내적 갈등을 부각시키면서 의적들의 활약이라는 주요 흐름에서 엇나간다. 창작진의 주 무기 중 하나인 고음에 의존하는 넘버들도 이에 한몫한다.

관객의 카타르시스는 내지르는 고음이 아닌 강렬한 스토리의 한 방에서 오는 법이나 스토리가 처진 상태에서 ‘고음 강박증’이라도 있는 듯한 넘버들은 피로감을 보탤 뿐이다. 숲 속 의적들의 활약으로 막판 반전을 노리지만 이들이 외쳤던 정의의 메시지도 집중력을 잃은 스토리 탓에 모호하게 들린다.

참신한 대목은 무대장치다. 장치라고 해 봐야 거대한 나무 모양의 세트가 무대 양옆과 천장을 감싸고 걷히는 반복이 전부다. 그러나 이 같은 간결함이 오히려 숲 속 의적들이라는 극의 주제를 또렷하게 상징한다. 3월 29일까지 서울 구로구 디큐브아트센터. 6만~13만원. (02)764-7857.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2-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