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인이 두려워요…디카페인 커피 먹어도 될까요?”

“카페인이 두려워요…디카페인 커피 먹어도 될까요?”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2-10-26 16:33
수정 2022-10-26 17: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월 출산을 앞두고 있는 임신부 A씨는 커피를 마시고 싶을 때 ‘디카페인 커피’를 찾는다. 임신부라도 하루 2-3잔의 커피는 괜찮다는 말을 들었지만 디카페인이 왠지 마음이 놓이다.

A씨처럼 임신부는 흡연, 음주는 물론이고 음식도 가려서 먹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가 문제다. 하지만 평소 커피를 즐긴 여성이라도 임신 후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임신부라도 하루 2-3잔 커피는 괜찮아”임신부는 하루 300mg 이내로 카페인을 섭취하면 된다. 커피 믹스 1개(12g)에는 69mg, 커피 1캔(180cc)에는 74mg의 카페인이 들어 있다. 임신부라도 하루 2-3잔의 커피는 괜찮다는 것이다.

특히 설탕이나 프림이 들어있지 않은 연한 블랙커피라면 더욱 좋다. 그러나 일부 커피전문점의 커피 1잔(150cc)에는 400mg의 카페인이 포함돼 있다.

다만 카페인은 커피뿐만 아니라 차, 탄산음료, 초콜릿, 심지어 두통약에도 들어 있기 때문에 당일 먹은 음식을 살피는 것도 필요하다.

카페인을 지나치게 섭취할 경우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된 카페인이 분해-배출되지 않아 저체중아 출산 등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카페인 함량이 0.15mg/ml 이상 함유한 액체식품은 ‘어린이, 임신부, 카페인 민감자는 섭취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등의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런 식품에 대해 ‘고카페인 함유’와 ‘총카페인 함량 ○○○mg’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디카페인 커피는 괜찮을까? “5% 안팎의 카페인 있다”그렇다면 디카페인 커피는 안전할까. 

최근 미국 건강 매체 ‘잇 디스, 낫 댓’은 디카페인 커피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화학물질-원두를 화학 물질(용제)에 담가 카페인을 녹여 제거한 것이 디카페인 커피다. 용제 중 일부는 페인트나 매니큐어를 지우는 데 쓰이는 염화메틸렌이다. 보건당국이 승인했지만, 자칫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콜레스테롤-디카페인 커피는 로부스타 품종으로 만든다. 아라비카종보다 단단하기 때문에 카페인 제거 과정에서 커피 고유의 향이 덜 사라진다.

문제는 로부스타종에는 인체가 지방산을 더 만들도록 하는 화합물이 많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장기간 마시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장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

▲클로로겐산-일반 커피와 비교할 때 디카페인 커피는 영양학적으로 일종의 ‘초 가공식품’이다. 카페인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다른 유익 성분도 줄거나 사라진다. 클로로겐산이 대표적이다.

면역력을 높이고 세포 노화를 막는 활성 물질이다. 디카페인 커피는 일반 커피보다 심장 건강을 돕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연구도 있다.

▲카페인 95% 정도는 제거되지만, 여전히 5% 안팎의 카페인이 들어있다. 카페인을 끊어야 하는 사람이라면 디카페인도 마시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