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지지’ 김지하…작가회의의 고민

‘박근혜 지지’ 김지하…작가회의의 고민

입력 2012-11-28 00:00
수정 2012-11-28 1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선을 20여일 앞둔 시점에 시인 김지하의 행보를 놓고 한국작가회의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앞서 언론 인터뷰를 통해 여성 후보로서 박 후보에 대한 호감을 표했던 김지하 시인이 지난 26일 보수단체 시국강연에서 “여자가 세상일 하는 시대가 왔다”면서 박 후보를 공개지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지난 27일 브리핑에서 “박 후보가 (김지하 시인의) 진솔한 말씀에 감동을 느꼈다. 진심으로 고마운 일”이라고 반겼다.

한국작가회의는 박정희 정권에 저항하다 투옥된 김 시인의 석방 운동을 계기로 1974년 자유실천문인협의회를 발족한 뒤 민족문학작가회의를 거쳐 지금에 이른다. 이런 처지여서 김 시인의 최근 행보는 마음 편히 지켜보기 어려운 광경이다.

김 시인과 한국작가회의 사이의 긴장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1991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분신자살이 잇따랐을 때 김 시인은 한 신문에 ‘죽음의 굿판을 당장 걷어치워라’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가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직과 회원자격 정지 결정을 당했다.

당시 작가회의는 “비록 개인적 입장에서 발표한 글이지만 이 때문에 작가회의를 포함해 민족문학진영 전체가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고 판단한다”며 이런 결정을 내렸다.

10년 뒤인 2001년 김 시인은 민족문학작가회의 소속 문인들과 만나 화해했지만 김 시인 역시 민주화 운동을 함께해온 이들에게 깊은 서운함을 가진 터여서 이후에도 ‘옛 동지들’과의 서먹함은 지속돼 왔다.

일단 한국작가회의는 김 시인의 최근 발언에 대해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기로 했다고 전했다.

애초 김 시인이 박 후보에 대한 호의적 발언을 시작했을 때 성명서를 준비하다가 접은 데 이어 이번 공개지지 발언에도 입장을 내놓지 않기로 한 것이다.

한국작가회의가 견지해온 진보적 문학단체의 입장을 감안해 김 시인의 발언을 마냥 듣고 흘리기 어렵다는 내부 목소리가 있지만 반응하지 않는 쪽이 낫겠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문단 관계자는 “다른 사람도 아닌 김지하이기 때문에 지켜보는 이들의 속내가 복잡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연합뉴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서울시의회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 제2선거구)은 지난 6월 23일 왕십리도선동을 시작으로, 6월 25일 행당1동, 7월 8일 왕십리제2동, 7월 9일 행당2동에서 열린 2025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참석해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며 자치 활동의 의미를 함께했다. 주민총회는 각 동의 주민자치회가 주도해서 한 해 동안의 활동을 보고하고, 주민 제안 사업에 대해 주민들이 직접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자리로, 생활자치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참여 플랫폼이다. 이번 주민총회에서는 자치계획 보고, 분과별 활동 공유, 마을의제 설명 등 다양한 순서가 진행되었으며, 생활안전, 복지, 환경 등 주민 실생활과 밀접한 주제들이 활발히 논의됐다. 구 의원은 각 총회에 참석해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주민들이 직접 마을의 일에 참여하고 방향을 정하는 모습이 참 인상 깊었다”면서 “이런 소중한 참여와 열정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시의회에서도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 한편, 구 의원은 매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빠짐없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꾸준히 청취하고 있으며, 주민 제안이 실질적인 정책과 예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