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개신교 교단의 목회자 양성 평등은 요원하고 전반적인 운영 역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 같은 사실은 교단총회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가 지난달 19일부터 일제히 치러진 고신·통합·합동·합신 4개 개신교단 총회를 참관한 결과 확인됐다.
공대위가 4일 ‘부끄러운 교단 총회, 위기의 한국 교회’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참관 결과는 그야말로 위기라고 불러도 지나친 말이 아닐 정도다. 남녀 목회자의 불평등은 가장 심각하다. 여성 총대는 4개 교단 중 통합 측만 7명을 두고 있지만 제적 총대 1442명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0.5%에 그쳤다.
특히 통합 총회에서는 7명의 여성 총대가 참석하고도 단 한 차례의 발언을 하지 않았고, 각 노회에서 여성 총대 1명 이상이 총회에 참석할 것을 제도화해 달라는 청원도 기각됐다. 고신·합신 총회에서는 여성 총대가 아예 보이지 않았고 총회 기간 동안 여성들의 역할은 여전히 안내·봉사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합동 측이 총회 GMS 여성선교사 성례와 세례를 허락하자는 청원을 통과시키고도 여성 목회자와 관련된 2개의 안건은 부결시킨 채 활동 중인 일부 여성의 목회 활동을 금지할 것을 결의해 상반된 모습을 보여줬다.
총회에서의 재정 보고 역시 허술하기는 마찬가지였다. 합동 측의 경우 아이티 지원금 중 12억원 상당의 지출이 기타 항목으로 간략하게 요약됐고 100억원에 가까운 총회 예결산 보고도 자료배부로 대체됐다고 공대위 측은 지적했다.
한편 관심을 모았던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탈퇴 헌의안은 합동을 제외한 세 교단에서 모두 상정됐지만 개선점을 찾지 못했다. 합동은 한기총 탈퇴와 변화를 위한 헌의안이 모두 상정되지 않거나 부결됐다. 통합은 한기총 탈퇴 관련 6건을 비롯해 총 11건의 상정 안을 제출하고도 결국 잔류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고신과 합신은 향후 1년간 더 연구 검토해 결정키로 했다.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공대위가 4일 ‘부끄러운 교단 총회, 위기의 한국 교회’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참관 결과는 그야말로 위기라고 불러도 지나친 말이 아닐 정도다. 남녀 목회자의 불평등은 가장 심각하다. 여성 총대는 4개 교단 중 통합 측만 7명을 두고 있지만 제적 총대 1442명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0.5%에 그쳤다.
특히 통합 총회에서는 7명의 여성 총대가 참석하고도 단 한 차례의 발언을 하지 않았고, 각 노회에서 여성 총대 1명 이상이 총회에 참석할 것을 제도화해 달라는 청원도 기각됐다. 고신·합신 총회에서는 여성 총대가 아예 보이지 않았고 총회 기간 동안 여성들의 역할은 여전히 안내·봉사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합동 측이 총회 GMS 여성선교사 성례와 세례를 허락하자는 청원을 통과시키고도 여성 목회자와 관련된 2개의 안건은 부결시킨 채 활동 중인 일부 여성의 목회 활동을 금지할 것을 결의해 상반된 모습을 보여줬다.
총회에서의 재정 보고 역시 허술하기는 마찬가지였다. 합동 측의 경우 아이티 지원금 중 12억원 상당의 지출이 기타 항목으로 간략하게 요약됐고 100억원에 가까운 총회 예결산 보고도 자료배부로 대체됐다고 공대위 측은 지적했다.
한편 관심을 모았던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탈퇴 헌의안은 합동을 제외한 세 교단에서 모두 상정됐지만 개선점을 찾지 못했다. 합동은 한기총 탈퇴와 변화를 위한 헌의안이 모두 상정되지 않거나 부결됐다. 통합은 한기총 탈퇴 관련 6건을 비롯해 총 11건의 상정 안을 제출하고도 결국 잔류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고신과 합신은 향후 1년간 더 연구 검토해 결정키로 했다.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10-0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