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노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 있었다”
고노 전 장관은 이날 도쿄도 일본기자클럽에서 무라야마 전 총리와 가진 ‘전후 70년을 말한다’ 대담에서 “역대 내각이 계승한 ‘무라야마 담화’가 후퇴되어서는 안 되고, 누가 봐도 후퇴됐다고 생각되는 것을 내어서도 안 된다”며 “담화를 내기보다는 전후 70년 기념사업으로서 외국의 원수도 참배하고, 국민 모두가 참배할 수 있는 위령시설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생존해 있는 분이 계시고 (일본이) 속죄하는 기분을 표현하고 (위안부 동원으로) 인생을 잘 살지 못한 분들에게 힘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일본과 한국이 한 번 더 생각해 봐야 한다”며 한·일 양국의 조속한 현안 타결을 촉구했다. 그는 일본군이 인도네시아에서 네덜란드 여성을 위안부로 삼은 사건을 거론하며 “군이 명백하게 강제적으로 데려가서 위안부로서 일을 시킨 사례”라며 명백하게 강제 연행이 있었다고 말했다.
●무라야마 “담화 계승 다시 한번 명시해야”
무라야마 전 총리도 ‘아베 담화’와 관련, “일본 정부가 그동안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한다고 국제적으로 약속했으며, 1차 아베 정권 때도 계승한다고 했다가 2차 아베 정권 때 말이 바뀌었다”면서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한다고 아베 담화에 명시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1995년 담화를 낸 것은 사죄 때문이 아니라, (일본이) 전쟁에 대해서 책임을 지지 않고, 군사대국이 되어서 잘못된 길을 걷는 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있었다”면서 “과거의 역사를 반성하고, 그런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고 평화의 길을 걷자는 뜻에서 담화를 냈다”고 말했다.
도쿄 황성기 특파원 marry04@seoul.co.kr
2015-06-1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