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산율 1.42명으로 후퇴… 이유 분석해 보니
만혼에, 핵가족화에, 변변한 직장을 가진 남성들도 줄고….회복세를 보여왔던 일본의 출산율이 지난해 1.42명을 기록하며 9년 만에 다시 줄어들기 시작했다. 인구도 지난해 한 해 동안 26만 9488명이 줄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늦게 결혼하는 만혼 경향 심화와 소자화(小子化·핵가족화)의 영향에다, 결혼하지 않는 생애 미혼들의 증가까지 겹쳐 20~30대 출산 적령기 여성들의 인구가 계속 줄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역별로는 도쿄의 출산율이 1.15로 역시 제일 낮았고, 소득은 낮지만 비교적 여유롭다는 남단 오키나와는 1.86이나 됐다. 교토 1.24, 오사카 1.31, 가나가와 1.31, 지바 1.32 등 대도시의 출산율이 시골에 비해 두드러지게 낮았다. 바쁘고 경쟁이 심해 먹고살기 쉽지 않은 곳에서 결혼도 적게 하고 아이도 적게 낳는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만혼·만산 경향은 두드러졌다. 지난해 일본에서 여성의 평균 결혼 연령(초혼 기준)은 29.4세였고, 여성이 첫 아이를 낳는 나이는 30.6세였다. 남성은 31.1세에 첫 결혼을 했다. 6년 전보다 남자는 2.6세, 여자는 3.2세 늦게 결혼하고 있는 셈이다. 가장 늦게 결혼하는 곳은 남녀 모두 도쿄로, 남성이 32.3세, 여성은 30.5세에 결혼했다.
결혼도 계속 줄고 있다. 지난해 1년 동안 결혼한 사람은 64만 3740쌍으로 전년도보다 1만 6800쌍이나 감소했다. 50세까지를 기준으로 한 결혼하지 않는 생애 미혼의 경우, 남성은 20.4%로 1980년 2.60%에 비해 7.8배 이상 늘었다. 여성도 4.45%에서 10.61%로 증가했지만 남성보다 증가율이 낮았다.
적령기 여성들이 남성의 경제력을 중시하는 데 반해 젊은 남성들의 변변한 일자리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것이 결혼성사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지적됐다. 요미우리신문은 남성의 경제력을 중시하는 여성들이 40%가량으로, 남성들은 결혼에 대해 위축되면서 결단을 하지 못하는 반면 경제 활동이 활발한 여성들은 수입이 적은 남성들과 결혼해서 별다른 혜택을 얻지 못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연 소득 300만엔(약 2675만원)이 ‘결혼의 벽’이었다고 분석했다.
젊은 층에 대한 고용 안정을 비롯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지원 강화, 육아 부담 완화 등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NHK방송은 나카교 대학의 마츠다 시게키 교수의 말을 인용, “고용이 안정되지 않아 결혼과 출산을 꺼리는 젊은이가 적지 않다”며 “이로 인해 저출산이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요미우리신문도 여성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여성들의 노동시간을 제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5-06-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