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무원 산하 국책연구기관 부소장이 자국 기업들의 대북 투자를 권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표명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6일 보도했다.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세계발전연구소 볜샤오춘(卞曉春) 상무부소장은 “북한이 최근 시장을 개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지만 여전히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고 관련 정책과 법규도 마련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볜 상무부소장은 또 “중국의 동북아 경제발전 전략과 한반도 안정이 긴밀히 연계돼 있지만 한반도 안보 위협이 여전히 제거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북한에 대한 투자가 위험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대북 투자를 둘러싼 위험 사례로 남북한의 금강산 관광사업을 들며 “관광객 피살 사건이 발생한 이후 금강산 관광이 전면 중단됐고 이후 북한이 일방적으로 금강산 일대 남측 자산을 몰수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외국인 투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의 대내외 정책 입안에 큰 영향을 끼치는 국무원 발전연구센터의 간부급 연구원이 대북 투자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나선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연합뉴스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세계발전연구소 볜샤오춘(卞曉春) 상무부소장은 “북한이 최근 시장을 개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지만 여전히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고 관련 정책과 법규도 마련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볜 상무부소장은 또 “중국의 동북아 경제발전 전략과 한반도 안정이 긴밀히 연계돼 있지만 한반도 안보 위협이 여전히 제거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북한에 대한 투자가 위험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대북 투자를 둘러싼 위험 사례로 남북한의 금강산 관광사업을 들며 “관광객 피살 사건이 발생한 이후 금강산 관광이 전면 중단됐고 이후 북한이 일방적으로 금강산 일대 남측 자산을 몰수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외국인 투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의 대내외 정책 입안에 큰 영향을 끼치는 국무원 발전연구센터의 간부급 연구원이 대북 투자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나선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