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주년 맞았지만 젊은 층 사건 몰라
4일 오전 중국 베이징 톈안먼(天安門)광장에는 제법 많은 비가 내렸다. 광장을 구경하기 위해 지하철역에서 내려 검색대까지 이어지는 길엔 우산을 받쳐 든 사람들이 500m 가까이 줄을 섰다. 민감한 날을 맞아 검색은 더 엄격해졌고 궂은 날씨까지 겹쳐 행렬은 좀처럼 줄지 않았다. 우산 파는 노점상의 목소리, 서로 먼저 검색대를 통과하려고 옥신각신하는 모습만 보일 뿐 26년 전 일을 기억하려는 사람은 없어 보였다.
베이징 AFP 연합뉴스
톈안먼사태 26주년을 맞은 4일 여느 때와 같이 평온한 분위기가 이어진 톈안먼광장에서 현지 관광객들이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들고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베이징 AFP 연합뉴스
베이징 AFP 연합뉴스

홍콩 AFP 연합뉴스
4일 홍콩 번화가에선 26년 전 톈안먼사태 당시 울렸던 자유와 민주의 염원을 기억하는 촛불시위가 열렸다. 지난해 좌절된 민주화 시위 이후 다시 모인 수만 명의 참가자들은 서로를 향해 “단결하자”고 외쳤다.
홍콩 AFP 연합뉴스
홍콩 AFP 연합뉴스
1989년 6월 4일 44만㎡에 이르는 이 광장에선 수십만명의 학생과 노동자들이 자유와 민주주의, 경제 불평등 해소를 요구하다 탱크를 앞세운 정부군에 진압됐다. 수백명이 목숨을 잃었고 1만 5000여명이 투옥됐다. 톈안먼사태는 왜 민주주의의 씨앗이 되지 못할까? 가장 큰 원인은 바로 망각이다.
서울신문은 베이징대에 다니는 중국인 학생들에게 톈안먼사태에 대해 물어봤다. 베이징대는 사태 당시 가장 많은 희생자를 냈다. 한 학생은 “대학에 와서 친구에게 처음으로 그 사건 얘기를 들었지만 전체적으로 어떤 상황이었는지는 모르겠다”면서 “특별한 생각이 없기 때문에 평가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다른 학생은 “고등학교 수업 시간에 선생님이 잠깐 언급했지만 간략하게 넘어갔기 때문에 아는 게 별로 없다”면서 “이 사건에 대해 나는 중립적”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정치와 역사에 관심이 많은 한 학생은 “고등학교 때 인터넷 위키피디아에서 처음 이 사건을 접했고, 대학에서 관련 자료를 많이 찾아봐 비교적 자세히 알고 있다”고 했다. 그는 “당시 학생들 편에 선 교수님의 강의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면서도 “지금 중국 사회에서 이 사건은 점차 잊혀 간다”고 말했다.
결국 중국의 공교육 틀 안에서는 톈안먼사태를 전혀 접할 수 없으며 대학에서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는 시선이 바뀔 수 있다는 얘기다.
중국의 인터넷은 톈안먼사태를 기록하고 있을까? 바이두와 텅쉰망 등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텐안먼’ ‘6·4 톈안먼’ ‘텐안먼 사건’ 등을 키워드로 검색했으나 관련 자료나 기사는 단 한 건도 없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6-0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