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에 50조원 보따리… 시진핑 ‘일대일로’ 광폭 행보

파키스탄에 50조원 보따리… 시진핑 ‘일대일로’ 광폭 행보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4-21 00:04
수정 2015-04-21 0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 첫 해외 방문국… “형제 집 가는 느낌”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을 잇는 역사적 경제·외교 프로젝트인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구상을 파키스탄에서부터 풀기 시작했다.

시 주석은 20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파키스탄을 방문해 460억 달러(약 50조원) 규모의 경제협력 ‘보따리’를 풀기 시작했다. 올해 첫 해외 방문국으로 파키스탄을 선택한 이유는 시 주석이 방문길에 오르며 파키스탄 신문에 기고한 글 ‘중국-파키스탄 인민의 우의 만세’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기고문에서 “파키스탄은 처음 방문하지만 형제 집에 가는 것과 같은 느낌”이라고 밝혔다.

파키스탄은 시 주석의 전용기가 영내로 들어오자 양국이 합작 생산한 샤오룽(梟龍) 전투기 편대를 띄워 호위하며 환영했다. 수도 이슬라마바드 곳곳에는 “파키스탄과 중국의 우정은 산보다 높고, 바다보다 깊다”라고 적힌 중국어 현수막이 내걸렸다.

시 주석은 “중국과 파키스탄의 ‘경제 회랑’은 실크로드 경제지대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의 합류점에 위치해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서 중대한 프로젝트”라고 밝혔다. 시 주석이 언급한 경제 회랑은 파키스탄 과다르항에서 중국 신장(新疆)위구르 자치구까지 3000㎞ 구간에 철도와 도로, 가스관을 건설하는 대역사이다. 회랑의 출발점인 과다르항은 중국이 개발해 40년간 운영권을 확보한 항구로 일대일로의 거점이고, 미국 해군이 장악하고 있는 말라카 해협을 대신할 중동 진출의 교두보다.

중국에 파키스탄은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국가 중 하나다. 파키스탄과 인접한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이 철수하면서 두 국가의 정치·경제 상황이 매우 불안정해졌고, 이들의 불안은 중국의 ‘화약고’인 신장 무슬림에게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파키스탄은 중국의 앙숙인 인도와 적대적 관계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파키스탄을 품에 안으면 미국과 인도를 동시에 견제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WSJ는 특히 “미국은 그동안 파키스탄에 50억 달러를 투자했는데, 중국은 일거에 460억 달러를 쏟아부으려 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파키스탄이 원하는 모든 것을 돈으로 해결해 주려 한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화끈한 투자에 파키스탄은 친중 국가로 바뀌었다. 아산 이크발 기획예산부 장관은 “파키스탄은 중국의 세계 진출에 기꺼이 다리가 되겠다”면서 “일대일로가 각국이 함께 연주하는 교향곡이라면 중국과 파키스탄의 경제 회랑은 그 교향곡의 달콤한 도입부”라며 중국 찬양가를 불렀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4-2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