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서방이 무시한 ‘일대일로·AIIB 꿈’ 실현 눈앞

시진핑, 서방이 무시한 ‘일대일로·AIIB 꿈’ 실현 눈앞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3-30 00:12
수정 2015-03-30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이난 보아오 포럼서 ‘시황제 굴기’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 및 해상 실크로드)는 공허한 구호가 아니다. 아시아 각국에 어떤 이익이 돌아가는지 곧 보게 될 것이다.”

지난 28일 중국 하이난(海南)에서 열린 보아오(博鰲) 포럼 기조연설에 나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어투에는 자신감이 넘쳐났다. 시 주석은 “일대일로의 원칙은 함께 상의하고(共商), 함께 건설하고(共建), 함께 누리(共享)는 것”이라며 “중국의 독창이 아니라 함께 가는 나라들과 합창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는 비참하게 침략당했지만 다른 국가에 비참함을 강요한 적이 없다”며 일본을 비판했고, “대국의 임무는 세계평화에 더 큰 책임을 지는 것이지 국제 사무를 농단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미국을 겨냥했다.

홍콩 봉황망(鳳凰網)은 29일 “시 주석은 ‘아시아 운명공동체’를 일대일로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라는 두 축으로 건설하려고 한다”면서 “새로운 국제질서를 세우려는 중국의 꿈을 미국과 일본이 방해해선 안 된다고 역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 주석이 2013년 9월 카자흐스탄에서 처음으로 ‘일대일로’ 계획을 말했을 때 서구 언론은 “꿈은 원대하나 실현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깎아내렸다. 그해 10월 인도네시아에서 AIIB 설립을 제안했을 때에도 “금융 후진국 중국이 어떻게?”라는 반응이 많았다. 지난해 10월 양해각서(MOU) 교환 때까지만 해도 아시아의 21개 빈국만이 창립회원국 가입에 사인한 정도였다.

그러나 보아오 포럼을 기점으로 시 주석의 꿈은 현실이 됐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외교부, 상무부는 시 주석의 기조연설에 맞춰 일대일로의 액션플랜을 제시했다. 육상으로는 중앙아시아와 러시아, 유럽까지 연결할 계획이며,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서는 중국 연해와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인도양을 거쳐 유럽과 남태평양까지 연결할 계획이다. 33개 성(省)급 행정단위 중 18개가 참여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일대일로의 핵심은 미국을 포위하는 인프라 구축이며 AIIB가 ‘돈줄’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아오 포럼을 기점으로 한국은 물론 대만까지 AIIB 가입을 선언했다. 러시아, 네덜란드, 호주도 31일 마감을 앞두고 막판에 가입을 결정했다. 29일 현재 가입 신청서를 냈거나 가입을 선언한 나라는 40개국이다. 주요 국가 중 미국과 일본만 빠졌다. 1944년 미국 중심의 금융질서를 확립한 브레턴우즈 체제가 허물어지고 있다는 평가는 결코 과장이 아니다.

아시아 개도국들은 벌써 중국에 줄을 대기 시작했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보아오 포럼 기간 중 시 주석을 만나 고속철도와 항만 건설 등 8개 협정을 체결했다. 일대일로의 핵심 항구로 꼽히는 콜롬보항 개발 문제로 중국과 갈등을 빚던 스리랑카의 마이트리팔라 시리세나 대통령도 “콜롬보항 개발권을 중국 기업에 주겠다”고 약속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3-3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