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째 화산재에 갇힌 필리핀 필리핀 수도에서 남쪽으로 약 65㎞ 떨어진 탈 화산이 폭발한 지 3일째를 맞은 13일(현지시간) 바탕가스 레머리에서 한 주민이 화산재 낙진을 막기 위해 우산을 쓴 채 대피하고 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까지 화산 주변에 200번 이상의 지진이 감지됐다. 화산은 지난 11일 폭발 이후 다소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필리핀 당국은 마그마가 분화구 쪽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곧 추가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바탕가스와 인근 카바이트 지역에서 이날까지 총 3만 400명의 주민이 대피한 것으로 집계됐다. 레머리 AP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3일째 화산재에 갇힌 필리핀
필리핀 수도에서 남쪽으로 약 65㎞ 떨어진 탈 화산이 폭발한 지 3일째를 맞은 13일(현지시간) 바탕가스 레머리에서 한 주민이 화산재 낙진을 막기 위해 우산을 쓴 채 대피하고 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까지 화산 주변에 200번 이상의 지진이 감지됐다. 화산은 지난 11일 폭발 이후 다소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필리핀 당국은 마그마가 분화구 쪽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곧 추가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바탕가스와 인근 카바이트 지역에서 이날까지 총 3만 400명의 주민이 대피한 것으로 집계됐다. 레머리 AP
필리핀 수도에서 남쪽으로 약 65㎞ 떨어진 탈 화산이 폭발한 지 3일째를 맞은 13일(현지시간) 바탕가스 레머리에서 한 주민이 화산재 낙진을 막기 위해 우산을 쓴 채 대피하고 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까지 화산 주변에 200번 이상의 지진이 감지됐다. 화산은 지난 11일 폭발 이후 다소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필리핀 당국은 마그마가 분화구 쪽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곧 추가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바탕가스와 인근 카바이트 지역에서 이날까지 총 3만 400명의 주민이 대피한 것으로 집계됐다.
레머리 AP
2020-01-1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