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슈아 웡, 美의회 청문회서 ‘홍콩인권법’ 통과 촉구 2014년 홍콩 우산혁명 주역인 조슈아 웡(왼쪽) 데모시스토당 비서장과 홍콩 민주화를 지지하는 가수 데니스 호(오른쪽)가 17일(현지시간) 미국 의회 산하 의회·행정부 중국위원회(CECC) 청문회에 참석해 발언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웡 비서장은 미 의회가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을 통과시켜 줄 것을 촉구하며 “홍콩은 보편적 자유와 가치를 지키려는 전쟁의 최전선에 있다”고 강조했다.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은 미국이 매년 홍콩의 자치 수준을 평가해 홍콩의 특별지위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워싱턴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조슈아 웡, 美의회 청문회서 ‘홍콩인권법’ 통과 촉구
2014년 홍콩 우산혁명 주역인 조슈아 웡(왼쪽) 데모시스토당 비서장과 홍콩 민주화를 지지하는 가수 데니스 호(오른쪽)가 17일(현지시간) 미국 의회 산하 의회·행정부 중국위원회(CECC) 청문회에 참석해 발언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웡 비서장은 미 의회가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을 통과시켜 줄 것을 촉구하며 “홍콩은 보편적 자유와 가치를 지키려는 전쟁의 최전선에 있다”고 강조했다.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은 미국이 매년 홍콩의 자치 수준을 평가해 홍콩의 특별지위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워싱턴 AP 연합뉴스
2014년 홍콩 우산혁명 주역인 조슈아 웡(왼쪽) 데모시스토당 비서장과 홍콩 민주화를 지지하는 가수 데니스 호(오른쪽)가 17일(현지시간) 미국 의회 산하 의회·행정부 중국위원회(CECC) 청문회에 참석해 발언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웡 비서장은 미 의회가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을 통과시켜 줄 것을 촉구하며 “홍콩은 보편적 자유와 가치를 지키려는 전쟁의 최전선에 있다”고 강조했다.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은 미국이 매년 홍콩의 자치 수준을 평가해 홍콩의 특별지위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