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머로 일리노이대 교수 한평생 연구
“과학이 승리했다.”
워싱턴포스트 홈페이지 캡처
프레드 커머로 일리노이대 교수
워싱턴포스트 홈페이지 캡처
워싱턴포스트 홈페이지 캡처
트랜스지방은 액체 상태인 불포화지방산에 수소를 첨가해 만든 고체 상태의 지방을 말한다. 가격이 싼 데다 음식의 맛과 식감을 높이고 유통기한을 늘려 줘 식품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돼 왔다. FDA는 이날 성명을 통해 트랜스지방을 다량 함유한 대표적 물질인 부분경화유를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식품 목록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식품업체들은 2018년 6월까지 부분경화유 사용을 중단하거나 사용을 계속하려면 FDA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950년대부터 트랜스지방을 연구하며 위험성을 경고해 온 커머로 교수는 2009년 FDA에 트랜스지방 사용을 금지해 달라는 내용의 시민청원서를 내며 직접 행동에 나섰다. 자신의 요구가 무시되자 2013년 FDA와 미 보건부를 상대로 법원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FDA는 그의 소송이 제기된 지 석 달 만에 트랜스지방을 음식에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지 않다며 실질적으로 이 성분을 없애겠다고 발표했고, 퇴출 절차에 들어가 16일 전 가공식품에서의 트랜스지방 사용 중단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젊은 시절 대학 연구원으로 일하던 그는 지역 병원의 의뢰로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동맥을 조사하다가 그들의 신체 조직에 많은 양의 트랜스지방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1957년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트랜스지방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연구 결과를 처음 발표했다.
트랜스지방 퇴출 사실에 누구보다 기뻐한 그는 “작년 생일 때 누군가 케이크를 가져왔는데 라벨을 보니 트랜스지방이 들어 있었다. 그래서 던져 버렸다”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튀긴 지방이 신진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계속 연구하겠다며 노익장을 과시한 그는 평소 지방을 빼지 않은 우유를 마시고 계란도 잘 먹지만 튀긴 음식과 마가린은 피한다고 밝혔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5-06-1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