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는 타투(문신)에 대한 인식이 좋은 편이 아니다. 외국의 유명 스포츠 스타들 보면 타투 안 한 사람이 거의 없다.
이미지 확대
BBC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BBC 캡처
그렇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타투한 사람은 조폭 아니면 불량배의 느낌을 준다. 연예인과 스포츠 선수들이 타투를 하면서 길거리에서도 타투한 사람들은 이전보다 많이 볼 수 있다. 그래도 타투한 사람은 한 번 더 쳐다볼 정도로 꺼려하는 사람이 많다. 역사적으로 문신이 형벌의 하나였던 것도 부정적인 이미지에 한몫을 했을 터다.
이 동영상은 서울에서 ‘타투 아티스트’를 운영하는 김기수(45·Aerok Kim)가 “국제 공인 타투이스트이다. 한국에서는 아니다”로 시작한다. 이어 그는 “사람들은 내가 불법적이라고 말하지만 나는 합법적이다”고 선언한다.
BBC는 한국에서 합법적인 타투아티스가 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김기수는 미국에서 타투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취득했다. 한국에서는 소용없어 피부관리가게로 허가를 받아야 했다.
김기수는 타투가 우리나라에서 하나의 문화로 예술로 받아들여지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는 “거리를 다니면 아줌마들이 다가와 (타투를 한) 내 몸을 만지지만 이로 인해 그들이 타투를 알게 된다면 상관없다”며 “아줌마에게 나는 마네킹이지만 타투를 체득하게 된다면 정말로 상관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영중 기자 jeuness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