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65세이상, 27.3%로 사상최고…韓·中·싱가포르도 빠른 고령화

日65세이상, 27.3%로 사상최고…韓·中·싱가포르도 빠른 고령화

입력 2017-06-16 15:57
수정 2017-06-16 15: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의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의 27.3%이고, 고령화율이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일부 국가의 고령화 속도도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됐다.

16일 일본 정부의 2017년판 ‘고령사회백서’에 따르면 2016년 10월 1일 현재 일본 총인구 1억2천693만명 중 65세 이상은 3천459만명(27.3%)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여성(1천959만명)이 남성(1천500만명)보다 많았다.

이런 고령화율 수치는 사상 최고 수준이다. 2015년의 26.6%보다 0.7%포인트 증가했다.

일본의 고령 인구는 1950년부터 점차 증가해 ‘단카이(團塊)세대’(1947~1949년 태어난 일본의 베이비 붐 세대)가 65세 이상이 된 2015년 3천387만명으로 늘었다. 백서는 고령인구가 2042년 3천935만명으로 절정에 달했다가 이후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고령화율은 증가세일 것으로 내다봤다.

2065년에 고령화율이 38.4%에 달해 65세 이상이 2.6명 중 1명이고, 75세 이상은 25.5%에 이르러 4명 중 1명에 해당할 것으로 전망했다.

평균 수명도 늘어 2015년 현재 여성이 86.99세, 남성이 80.75세에서 2065년에는 각각 91.35세, 84.95세가 될 것으로 추산했다.

백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아시아 각국으로 눈을 돌려보면 한국이 2018년, 싱가포르가 2020년, 중국이 2023년부터 일본보다 더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일본 내각부가 지난해 60세 이상 1천976명 대상 설문조사에서 20.8%가 18세 이상 자녀나 손자에게 생활비를 지원한다고 답했다.

조사 대상 64.6%는 경제생활과 관련, ‘걱정 없다’고 응답했다.

전체의 55.6%는 차량 등을 운전해 쇼핑한다고 답해 추후 운전이 어려워질 경우를 대비해 지역 공공교통 수단 확보를 포함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