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이어 공화도 ‘정보유출’에 방점…러 유착설 벗기 안간힘

트럼프 이어 공화도 ‘정보유출’에 방점…러 유착설 벗기 안간힘

입력 2017-02-19 11:07
수정 2017-02-19 1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트럼프 측근 하원 정보위원장, FBI에 정보유출 경위 조사 촉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여당인 공화당이 정권 인사들의 ‘러시아 내통’ 의혹을 파헤치기보다는 정보기관의 유출 의혹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부와 러시아 간 유착 의혹을 부인하고 ‘정보유출’에 방점을 찍어 법무부 수사를 지시한 데 이어 의회 공화당도 유출 경위와 유출자 색출 등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

18일(현지시간) 미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공화당 소속인 데빈 누네스(캘리포니아) 하원 정보위원장은 전날 연방수사국(FBI)에 공문을 보내, 정보기관의 정보유출 의혹을 조사해 보고하라고 요구했다.

누네스 위원장은 이달 초 트럼프 대통령과 호주·멕시코 정상과의 통화 내용, 낙마한 마이클 플린 전 국가안보보좌관과 세르게이 키슬략 주미 러시아 대사간 통화 내용이 언론에 유출된 경위 등에 대한 조사를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누네스 위원장의 FBI 조사 요구는 트럼프 대통령이 16일 백악관 기자회견을 통해 정보유출 출처를 “정보기관 사람들”이라고 지목하고, 법무부 수사를 지시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특히 미 언론이 제기한 러시아 유착설을 일축하고, 오히려 “왜 워싱턴에 이렇게 많은 불법적 정보유출이 있는지가 기삿거리”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인식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직 인수위’에서 활동한 그는 공화당 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로 분류된다.

누네스 위원장은 지난 16일 보수 성향 ‘폭스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 충성하거나 트럼프 대통령에 반대하는 정보기관 직원들”을 정보 유출자로 의심했다.

그러면서 “그는 ”나라가 망가지고 있다“며 ”정부 내에서 정보를 유출하는 사람은 누구든 간에 절대로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폴리티코는 누네스 위원장과 가까운 인사를 인용해, 그가 ”트럼프 대통령이 정보기관의 표적이 된 것으로 믿고 있다“고 보도했다.

즉, 미 정보기관 내 ‘반(反) 트럼프’ 인사들이 의도적으로 언론에 정보를 흘려 트럼프 대통령을 흔들고 있다는 것이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은 지난 14일 효문고등학교에서 마을버스 운행과 관련한 학부모 간담회를 주선해 지역 교통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효문고 교장, 효문중 교장, 교감, 도봉구청 관계자, 지역운수업체 및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 학부모 등 약 20명이 참석해 학생들의 수요가 많은 마을버스의 증차, 노선변경 및 신설 등에 대해 건의했다. 학부모들은 “인근지역 주택공급 및 개발로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는 물론 덕성여대까지 교통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버스 배차간격이 길고, 무엇보다 쌍문역 같은 지역수요가 많은 교통요지와의 접근성에 문제가 많다”라며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도 숙원사업”이라고 적극 건의했다. 학교 측에서도 “학교 위치가 너무 외져서 기간제교사를 채용할 시 지원율이 상당히 낮고, 특히 초임교사들에게도 교통상의 문제로 출퇴근에 어려움이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홍 의원은 “학생복지뿐만 아니라 교통복지 차원에서 학교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육환경 개선은 단순히 시설 확충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학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