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플린은 지난달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세르게이 키슬략 주미 러시아대사와 꾸준히 접촉하면서 대(對) 러시아 제재 해제를 논의하는 등 러시아와 연계됐다는 의혹에 휘말린 바 있다. 이 의혹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은 아직 뚜렷하지 않다. 플린은 처음엔 러시아 대사와 접촉한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제재 해제 문제는 거론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가 워싱턴포스트 등이 제재 관련 논의도 있었다고 보도하자 뒤늦게 시인한 바 있다.
WSJ에 따르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플린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면서도 플린을 둘러싼 논란이 달갑지 않다고 비공식적으로 주변에 이야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백악관 실세’로 불리는 스티브 배넌 백악관 수석전략가가 지난 주말 플린과 함께 저녁을 먹었으며, 배넌은 플린을 백악관에 두고 싶어 하지만 보낼 준비도 됐다고 한 고위 당국자는 전했다. 또 다른 실세로 꼽히는 스티븐 밀러 백악관 수석 정책고문은 이날 여러 방송에 출연해 플린의 거취에 대한 질문에 답변을 흐리며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할 일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CBS는 플린이 러시아 대사 접촉 문제에 대한 말 바꾸기로 마이크 펜스 부통령마저 속여 이 두 사람 관계가 상당히 틀어졌다고 보도했다. CBS는 내부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 2명을 인용해 펜스 부통령이 플린의 거짓말에 의존해 여러 방송에 출연해서 플린을 대변했던 상황에 화가 났다고 전했다. 일부 당국자들은 플린이 스스로 물러나기를 바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일부 측근들은 벌써 플린의 후임을 추측한다고 WSJ는 전했다. 후임으로는 예비역 중장인 키스 켈로그 NSC 사무총장 등이 거론된다.
일간 뉴욕타임스는 플린이 지금 자리에서 살아남을지 불안정한 상태에서 불확실한 세계 속 대통령의 대응을 관리하는 중심인 NSC가 혼란스럽고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