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동해안에 탄도 미사일 잠수함 보호용 대피소를 건설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영국 군사전문 매체 IHS 제인스 디펜스 위클리는 22일(현지시간) 북한 당국이 함경남도 신포항 인근에 잠수함을 보호할 수 있는 폐쇄형 선창 두 개를 건설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선창 건설 지점은 신포항에서 남쪽으로 2.25㎞ 떨어진 곳으로 마양도 해군 기지와 가깝다.
상업용 위성 사진에 따르면 북한은 2009년 8월에서 2012년 11월 사이에 대피소 건설에 착수했다.
2009년까지만 하더라도 6천㎡ 크기의 항만이었던 자리에 방파제를 건설하고 바다를 메웠으며, 2014년 7월부터는 길이 137m, 너비 13m의 선창을 건설하고 있다.
이는 현재 북한이 벌이고 있는 군사용 건물 건설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IHS는 분석했다.
현재 북한은 2천∼2천500t 규모의 신포급 잠수함을 1대를 갖추고 있다.
대형 탄도 미사일 잠수함은 기존의 잠수함 벙커에 들어갈 수가 없기에 북한이 새로운 시설을 건축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IHS 제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영국 군사전문 매체 IHS 제인스 디펜스 위클리는 22일(현지시간) 북한 당국이 함경남도 신포항 인근에 잠수함을 보호할 수 있는 폐쇄형 선창 두 개를 건설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선창 건설 지점은 신포항에서 남쪽으로 2.25㎞ 떨어진 곳으로 마양도 해군 기지와 가깝다.
상업용 위성 사진에 따르면 북한은 2009년 8월에서 2012년 11월 사이에 대피소 건설에 착수했다.
2009년까지만 하더라도 6천㎡ 크기의 항만이었던 자리에 방파제를 건설하고 바다를 메웠으며, 2014년 7월부터는 길이 137m, 너비 13m의 선창을 건설하고 있다.
이는 현재 북한이 벌이고 있는 군사용 건물 건설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IHS는 분석했다.
현재 북한은 2천∼2천500t 규모의 신포급 잠수함을 1대를 갖추고 있다.
대형 탄도 미사일 잠수함은 기존의 잠수함 벙커에 들어갈 수가 없기에 북한이 새로운 시설을 건축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IHS 제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