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사람” “사기꾼” “보수 진영의 암 덩어리”
지난해 6월 미국 공화당 경선에 뛰어든 이래 기행과 막말을 일삼은 도널드 트럼프에게 경쟁후보와 당내 유력인사들이 쏟아낸 비난들이다.
그러나 트럼프가 이달 초 공화당 대선후보로 사실상 확정되면서 그에게 이런 비난을 퍼붓던 인사들 중 다수는 언제 그랬냐는 듯 신속히 꼬리를 내리고 점차 ‘트럼프 대세론’에 편승하는 듯한 분위기로 돌아서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장 눈에 띄는 사례로는 린지 그레이엄 미 연방 상원의원이 꼽힌다.
트럼프는 지난해 7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유세에서 “바보 같은 린지 그레이엄”이라고 말하며 그의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하는 기행을 보인 적이 있다.
그레이엄 의원은 트럼프가 “내가 만난 인물 중 대통령이 될 준비가 가장 안 된 인물”이라고 거듭 지칭해 왔다.
하지만 이번 주 두 사람은 전화상으로 15분에 걸쳐 국가안보 정책을 논의했다.
그레이엄 의원은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대화를 나눴다면서 트럼프가 “뛰어난 유머 센스를 갖고 있다”고 칭찬했다.
아직 지지를 선언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트럼프에 대해 “분명히 한 방을 날릴 수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7월 워싱턴의 한 포럼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출마는 보수 진영의 암이다. 명쾌하게 진단하고 절제한 뒤 버려져야 한다”고 말했던 릭 페리 전 텍사스 주지사는 트럼프 지지를 선언했을 뿐 아니라 러닝메이트까지 자청했다.
그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완벽한 사람이 아니다. 하지만 나는 그가 이 나라를 사랑하며, 능력 있고 경험 있는 사람들로 주변을 채운 뒤 그들의 말에 귀 기울일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트럼프를 “원칙이 없는 자아도취자” “반드시 저지해야 할 미친 사람”이라고 했던 보비 진달 전 루이지애나 주지사는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가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한 ‘레이건’적 지도자인 척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그는 (힐러리와 트럼프라는) 두 가지 나쁜 선택 중 나은 쪽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다른 당내 주요 인사들도 일각의 예상과 달리 신속하게 트럼프 지지로 돌아서고 있다.
오린 해치 상원의원은 12일 워싱턴에서 트럼프와 회동한 뒤 주저 없이 그를 지지한다고 밝혔고, 골수 공화당 지지자인 ‘카지노 재벌’ 셸던 아델슨 역시 13일 지지를 선언하며 공화당원들이 트럼프를 중심으로 결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는 여전히 트럼프 지지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트럼프는 절대 안 된다”는 기류는 상당 부분 사라진 모양새다.
4년 전 공화당 대선후보였던 롬니의 대변인이었던 라이언 윌리엄스는 “공화당의 가장 큰 결집력은 힐러리 클린턴의 대통령 당선 전망에서 나온다”면서 “이것이 트럼프의 가장 가혹한 비판자 중 일부조차 달래는 동기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트럼프와 경선에서 막판까지 접전을 벌인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은 끝까지 화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 라이스대 역사학자 더글러스 브링크리 교수는 몇 달씩 인신공격을 주고받으면서 감정이 상할 대로 상한 두 사람의 관계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브링크리 교수는 “누군가에게 ‘거짓말쟁이 테드’ 같은 별명을 열심히 붙이다가 갑작스레 미소 지으며 부둥켜안는다면 아주 난감한 장면이 연출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지난해 6월 미국 공화당 경선에 뛰어든 이래 기행과 막말을 일삼은 도널드 트럼프에게 경쟁후보와 당내 유력인사들이 쏟아낸 비난들이다.
그러나 트럼프가 이달 초 공화당 대선후보로 사실상 확정되면서 그에게 이런 비난을 퍼붓던 인사들 중 다수는 언제 그랬냐는 듯 신속히 꼬리를 내리고 점차 ‘트럼프 대세론’에 편승하는 듯한 분위기로 돌아서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장 눈에 띄는 사례로는 린지 그레이엄 미 연방 상원의원이 꼽힌다.
트럼프는 지난해 7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유세에서 “바보 같은 린지 그레이엄”이라고 말하며 그의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하는 기행을 보인 적이 있다.
그레이엄 의원은 트럼프가 “내가 만난 인물 중 대통령이 될 준비가 가장 안 된 인물”이라고 거듭 지칭해 왔다.
하지만 이번 주 두 사람은 전화상으로 15분에 걸쳐 국가안보 정책을 논의했다.
그레이엄 의원은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대화를 나눴다면서 트럼프가 “뛰어난 유머 센스를 갖고 있다”고 칭찬했다.
아직 지지를 선언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트럼프에 대해 “분명히 한 방을 날릴 수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7월 워싱턴의 한 포럼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출마는 보수 진영의 암이다. 명쾌하게 진단하고 절제한 뒤 버려져야 한다”고 말했던 릭 페리 전 텍사스 주지사는 트럼프 지지를 선언했을 뿐 아니라 러닝메이트까지 자청했다.
그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완벽한 사람이 아니다. 하지만 나는 그가 이 나라를 사랑하며, 능력 있고 경험 있는 사람들로 주변을 채운 뒤 그들의 말에 귀 기울일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트럼프를 “원칙이 없는 자아도취자” “반드시 저지해야 할 미친 사람”이라고 했던 보비 진달 전 루이지애나 주지사는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가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한 ‘레이건’적 지도자인 척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그는 (힐러리와 트럼프라는) 두 가지 나쁜 선택 중 나은 쪽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다른 당내 주요 인사들도 일각의 예상과 달리 신속하게 트럼프 지지로 돌아서고 있다.
오린 해치 상원의원은 12일 워싱턴에서 트럼프와 회동한 뒤 주저 없이 그를 지지한다고 밝혔고, 골수 공화당 지지자인 ‘카지노 재벌’ 셸던 아델슨 역시 13일 지지를 선언하며 공화당원들이 트럼프를 중심으로 결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는 여전히 트럼프 지지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트럼프는 절대 안 된다”는 기류는 상당 부분 사라진 모양새다.
4년 전 공화당 대선후보였던 롬니의 대변인이었던 라이언 윌리엄스는 “공화당의 가장 큰 결집력은 힐러리 클린턴의 대통령 당선 전망에서 나온다”면서 “이것이 트럼프의 가장 가혹한 비판자 중 일부조차 달래는 동기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트럼프와 경선에서 막판까지 접전을 벌인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은 끝까지 화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 라이스대 역사학자 더글러스 브링크리 교수는 몇 달씩 인신공격을 주고받으면서 감정이 상할 대로 상한 두 사람의 관계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브링크리 교수는 “누군가에게 ‘거짓말쟁이 테드’ 같은 별명을 열심히 붙이다가 갑작스레 미소 지으며 부둥켜안는다면 아주 난감한 장면이 연출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