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영국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11조원에 육박하는 자금을 투자하기로 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방문에 공을 들인 영국은 건설자금을 얻었고, 중국은 바라던 대로 원전 수출의 활로를 찾았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21일(현지시간)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뒤 연 공동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영국 남부 힌클리 포인트 원전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역사적인 합의를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중국의 원전 참여를 발표했다고 BBC 방송 등이 전했다.
시 주석은 기자회견에서 “글로벌 전략적 협력과 황금시대를 열고 더 나은 미래를 함께 만들자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발표 직전 ‘힌클리 포인트’ 원전 건설 프로젝트 주사업자인 프랑스 에너지업체 EDF는 중국 원전 국영기업인 중국광핵그룹(CGN)이 이 프로젝트에 60억파운드(약 10조8천억원)를 투자해 지분 33. 5%를 확보하는 합의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총사업비는 180억파운드(약 32조원)로 EDF와 CGN이 66.5% 대 33.5% 지분 비율을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EDF는 설명했다.
또한 CGN이 영국 서퍽 카운티 시즈웰 원전 프로젝트에서 지분 20%를 투자키로 했으며, 에식스주(州) 브래드웰 원전 프로젝트에는 66.5% 지분으로 프로젝트를 주도한다고 EDF는 덧붙였다. 양사는 브래드웰 원전 프로젝트에 중국이 자체 개발한 ‘화롱원’ 원전을 설치하기 위한 영국 내 라이선스 확보에 협력키로 했다.
EDF-CGN 컨소시엄은 2025년까지 힌클리 포인트에 1.67기가와트 ‘유럽형가압경수로’(EPR) 2기를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완공되면 영국 전체 전력공급의 7%를 차지하는 대형 원전이다. 힌클리 포인트 원전은 영국에서 30년 만에 재개되는 첫 원전 건설이다. 2008년 영국 노동당 정부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노후 화력발전소들을 중단하고 차세대 원전들로 대체하는 계획을 승인했고 2010년 출범한 보수당 정부도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도 이 방침을 유지했다.
힌클리 포인트 원전은 그간 경제적 효율성 논란, 환경단체들의 반대, EU의 보조금 조사 등에 가로막혀 착수가 수년간 미뤄져 왔다. 그러나 가장 큰 걸림돌은 자금조달이었으나 중국 측의 참여로 본 궤도에 오를 수 있게 됐다. 영국 정부는 ‘사이버공격’ 의혹을 받는 중국에 원전 건설을 허용하는 것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라는 영국 정보당국들의 우려에도 중국을 끌어들이려고 애를 쓴 배경이기도 하다.
중국의 영국 원전 투자는 원전 수출에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앞서 앰버 루드 영국 에너지장관은 “영국은 저탄소 에너지를 얻게 되고, 중국은 자국 원전 기술을 서방에 선보일 수 있는 첫 사례를 얻는 것”이라며 양국의 윈-윈을 강조했다.
양국은 또 시 주석 방문기간 300억파운드(약 54조원)에 달하는 투자 및 무역 협정들에 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21일(현지시간)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뒤 연 공동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영국 남부 힌클리 포인트 원전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역사적인 합의를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중국의 원전 참여를 발표했다고 BBC 방송 등이 전했다.
시 주석은 기자회견에서 “글로벌 전략적 협력과 황금시대를 열고 더 나은 미래를 함께 만들자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발표 직전 ‘힌클리 포인트’ 원전 건설 프로젝트 주사업자인 프랑스 에너지업체 EDF는 중국 원전 국영기업인 중국광핵그룹(CGN)이 이 프로젝트에 60억파운드(약 10조8천억원)를 투자해 지분 33. 5%를 확보하는 합의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총사업비는 180억파운드(약 32조원)로 EDF와 CGN이 66.5% 대 33.5% 지분 비율을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EDF는 설명했다.
또한 CGN이 영국 서퍽 카운티 시즈웰 원전 프로젝트에서 지분 20%를 투자키로 했으며, 에식스주(州) 브래드웰 원전 프로젝트에는 66.5% 지분으로 프로젝트를 주도한다고 EDF는 덧붙였다. 양사는 브래드웰 원전 프로젝트에 중국이 자체 개발한 ‘화롱원’ 원전을 설치하기 위한 영국 내 라이선스 확보에 협력키로 했다.
EDF-CGN 컨소시엄은 2025년까지 힌클리 포인트에 1.67기가와트 ‘유럽형가압경수로’(EPR) 2기를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완공되면 영국 전체 전력공급의 7%를 차지하는 대형 원전이다. 힌클리 포인트 원전은 영국에서 30년 만에 재개되는 첫 원전 건설이다. 2008년 영국 노동당 정부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노후 화력발전소들을 중단하고 차세대 원전들로 대체하는 계획을 승인했고 2010년 출범한 보수당 정부도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도 이 방침을 유지했다.
힌클리 포인트 원전은 그간 경제적 효율성 논란, 환경단체들의 반대, EU의 보조금 조사 등에 가로막혀 착수가 수년간 미뤄져 왔다. 그러나 가장 큰 걸림돌은 자금조달이었으나 중국 측의 참여로 본 궤도에 오를 수 있게 됐다. 영국 정부는 ‘사이버공격’ 의혹을 받는 중국에 원전 건설을 허용하는 것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라는 영국 정보당국들의 우려에도 중국을 끌어들이려고 애를 쓴 배경이기도 하다.
중국의 영국 원전 투자는 원전 수출에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앞서 앰버 루드 영국 에너지장관은 “영국은 저탄소 에너지를 얻게 되고, 중국은 자국 원전 기술을 서방에 선보일 수 있는 첫 사례를 얻는 것”이라며 양국의 윈-윈을 강조했다.
양국은 또 시 주석 방문기간 300억파운드(약 54조원)에 달하는 투자 및 무역 협정들에 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