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 해역에 미국이 군함을 파견하겠다는 방침을 관련 국가에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중국이 남중국해에 건설하는 인공섬의 12해리(약 22.2㎞) 내에 머지않아 미국 해군 함정을 파견하겠다는 방침을 동남아시아 관계국에 외교 경로로 이달 전달했다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이 밝혔다.
미국 정부는 항행(航行)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해 해군 군함을 이른 시일 내에 이 지역에 보내기로 결정했다고 해당 국가들에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시점까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 정부의 이런 연락을 받은 국가 가운데는 필리핀 등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는 덧붙였다.
최근 시 주석이 미국을 방문해 인공섬이 “어떤 국가를 겨냥하거나 영향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며 중국은 이 섬의 무장을 추진할 의도가 없다”고 주장했고 미국이 중국의 태도를 일단 지켜보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 상황이라 실제 미국 군함이 파견되는 시기는 유동적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 소식통은 “국제법상 언제든지 실행 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미국은 관련국에 군함 파견 방침을 통보해 이 사안에 관해 강한 의지를 표명한 셈이라고 교도는 평가했다.
연합뉴스
19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중국이 남중국해에 건설하는 인공섬의 12해리(약 22.2㎞) 내에 머지않아 미국 해군 함정을 파견하겠다는 방침을 동남아시아 관계국에 외교 경로로 이달 전달했다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이 밝혔다.
미국 정부는 항행(航行)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해 해군 군함을 이른 시일 내에 이 지역에 보내기로 결정했다고 해당 국가들에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시점까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 정부의 이런 연락을 받은 국가 가운데는 필리핀 등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는 덧붙였다.
최근 시 주석이 미국을 방문해 인공섬이 “어떤 국가를 겨냥하거나 영향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며 중국은 이 섬의 무장을 추진할 의도가 없다”고 주장했고 미국이 중국의 태도를 일단 지켜보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 상황이라 실제 미국 군함이 파견되는 시기는 유동적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 소식통은 “국제법상 언제든지 실행 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미국은 관련국에 군함 파견 방침을 통보해 이 사안에 관해 강한 의지를 표명한 셈이라고 교도는 평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