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 연설서 “평화적 우주개발 자주적 권리”…장거리 로켓발사 시사 “미국 정전협정→평화협정 동의하면 건설적 대화 용의”
북한 리수용 외무상은 1일(현지시간) “평화적 위성발사를 금지하는 부당한 처사에는 모든 자위적 조치들로 끝까지 강경대응해 존엄을 수호하는게 공화국 정부의 확고부동한 결심이고 입장”이라고 말했다.리 외무상은 1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한 제70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평화적 우주개발은 국제법에 따라 주어진 주권국으로서의 자주적 권리”라며 이같이 말했다.
핵실험에 대해서도 “미국의 적대시 정책과 핵 위협에 대처한 자위적 조치”라고 주장했다.
리 외무상의 연설은 북한이 오는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에 즈음해 장거리 로켓 발사와 제4차 핵실험 등 추가 도발을 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뤄졌다.
18분간의 연설에서 리 외무상은 “오늘 세계에는 우주 공간을 이용하는 것을 국가의 자주권리로 명시한 국제법이 있다”며 “위성을 발사하는 나라가 10개가 넘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유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서는 위성 발사를 금지한다는 불법적인 결의를 만들어냈다”고 비판했다.
또 “세계적으로 이미 9개 나라가 핵무기를 개발하고 핵실험을 2천 번 넘게 단행했지만 유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서만은 불과 3차례도 하기 전 핵실험을 금지하는 결의를 만들어냈다”고 비난을 이어갔다.
지난 8월 남북한의 군사적 긴장 고조에 대해 그는 “조선반도에 현존하는 평화가 얼마나 취약한지 보여줬다”며 “작은 도발에 의해서도 순간 긴장이 고조되고 관계가 얼어붙을 수 있는 게 북남 관계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북남 관계가 모처럼 완화에 들어섰지만 이 분위기는 아직 공고하지 못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의 정전협정으로서는 조선반도에서 더는 평화를 유지할 수 없다”며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는 것은 더욱 미룰 수 없는 문제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미국이 용단을 내려야 할 문제”라며 “미국이 평화협정 체결에 응해 나설 때가 됐다”고 요구했다.
리 외무상은 “미국이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는데 동의한다면 공화국은 조선반도에서 전쟁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건설적인 대화를 할 용의가 있다”며 “미국이 대담하게 정책 전환을 하게 되면 조선반도의 안전 환경은 극적 개선을 맞이하게 될 것이며, 미국의 안보상 우려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