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의 잠못이루는 밤’으로 말문 연 시진핑…인연·경제 강조

‘시애틀의 잠못이루는 밤’으로 말문 연 시진핑…인연·경제 강조

입력 2015-09-23 16:13
수정 2015-09-23 16: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양국 정관계·기업 CEO 등 650여명 참석’매머드 연회’첫 도착지 시애틀 화두는 ‘경제’…미국과 선린우호 강조소탈·서민풍모 과시…美 영화·드라마 언급하며 ‘구애’

미국을 국빈 방문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 대한 22일(현지시간) 환영 만찬은 ‘중국굴기’(中國굴<山+屈>起·중국이 우뚝 일어섬)를 새삼 확인하는 자리였다.

만찬은 이날 저녁 시애틀 웨스틴 호텔 대연회장에서 미·중 정·관계와 기업 CEO 등 내로라하는 인사 65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성대하게 진행됐다.

어두운 남색 양복에 중국 고유의 색인 빨간색 넥타이를 맨 시 주석은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의 소개를 받은 후 초대 손님들로부터 기립박수를 받으며 연단에 올랐다.

시 주석은 연설에서 “중국은 결코 패권(헤게모니)과 확장을 추구하지 않는다”면서 미국과의 선린 우호 관계를 강조했다. 중국의 팽창과 세력 확대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씻기 위한 화해 제스처였다.

연설이 끝나자 게리 로크 전 워싱턴 주지사 겸 전 주중 미국대사가 건배 제의를 했고, 시 주석은 환하게 웃는 얼굴로 샴페인 잔을 들었다.

시 주석의 오른쪽에는 마크 필즈 보잉사 CEO가, 왼쪽에는 제이 인슬리 워싱턴 주 주지사가 밝은 미소로 시 주석을 환영했다.

이날 만찬 헤드 테이블에는 시 주석과 부인 펑리위안(彭麗媛) 여사를 중심으로 건너편에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부부가 앉았다.

또 키신저 전 국무장관, 프리츠커 상무장관, 인슬리 워싱턴 주지사, 마이크로소프트·보잉·스타벅스·IBM·듀폰 CEO들이 배석했다고 시애틀타임스가 전했다.

이날 만찬 메뉴는 첫 방문지 워싱턴 주의 농산물이 여럿 포함돼 시 주석의 세심한 배려가 돋보였다는 평이다.

특히 윌리 그린 유기농장에서 재배된 채소로 만든 샐러드 옆에는 글루텐이나 유제품, 견과류가 들어있지 않은 ‘채식주의자 메뉴’라고 적혀 있어 눈길을 끌었다.

주 요리 중 하나는 더블 R 랜치 워싱턴 비프스테이크였다. 여기에 워싱턴주 와이너리인 샤토 생 미셸에서 제공된 2013년산 카베르네 쇼비뇽과 2014년산 샤도네이, 시오 초콜릿으로 만들어진 디저트 등이 곁들여졌다.

시 주석은 만찬 자리에서 “나는 워싱턴 주와 시애틀 시가 낯설지 않다”면서 워싱턴 주와 시애틀과의 인연을 강조하면서 화제를 풀어나갔다.

이어 할리우드 영화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을 언급하면서 “이 도시의 이름이 중국에서도 매우 친숙하다”고도 했다.

시 주석의 시애틀 친화 발언은 자신이 푸젠(福建)성 푸저우(福州)시에서 관료로 재직하던 1993년 첫 방문했다는 사실을 상기한 것이기도 하다.

실제로 워싱턴 주는 덩샤오핑(鄧小平·1979년), 장쩌민(江澤民·1993년), 후진타오(胡錦濤·2006년)에 이어 시 주석까지 중국 최고지도자 4명이 잇따라 방문하는 기록을 세웠다.

시 주석은 또 10대 때 문화혁명 속에서 겪었던 신산했던 경험담을 얘기할 때는 다소 회상에 잠기는 듯한 모습도 내비쳤다.

그는 1969년∼1975년 산시성(陝西省) 옌촨현(延川縣) 원안이공사(文安驛公社) 량자허대대(梁家河大隊)에서 지식청년(知識靑年)으로 활동한 바 있다.

시 주석은 또 평소에 자주 언급하던 ‘중국몽’(中國夢)을 이날도 다시 꺼내면서 중국 지도자들에게는 여전히 경제발전이 가장 중요한 목표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중 간 최대 현안 중 하나인 사이버 보안 문제에 대한 입장도 피력했다.

시 주석은 미국 기업 CEO들에게 “중국 정부는 어떠한 형태로건 상업적 도둑질이나 정부 전산망 해킹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런 행위들은 법과 관련 국제 조약에 따라 처벌돼야 할 범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사이버범죄와 싸우기 위해 미국과 고위급 공동 대화 메커니즘을 만들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이어 최근 중국 내 부패척결 운동을 거론하며 “이제 호랑이와 날파리를 모두 제거했다”면서 “이는 권력 투쟁이 아니다. ‘하우스 오브 카드’는 없다”고 말해 청중들의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워싱턴의 권력암투와 위선을 다룬 미국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를 빗댄 것이지만, 이 드라마는 중국에서 불법 다운로드와 DVD 등으로 널리 퍼져 매우 인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날 만찬에는 시 주석의 방미수행단인 마윈(馬雲) 알리바바 회장, 리옌훙(李彦宏) 바이두(百度) 회장, 마화텅(馬化騰) 텅쉰(騰訊·텐센트) 회장, 양위안칭(楊元慶) 롄샹(聯想·레노보)그룹 회장 등 중국 정보기술(IT) 업계 거물들이 총출동했다.

아울러 베이징(北京)·충칭(重慶)시, 쓰촨(四川)·저장(浙江)·산시(陝西)·산둥(山東)성 등 지방정부 수장들도 대거 동행했다.

미국 측에서는 페니 프리츠커 연방 상무부 장관,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 제이 인슬리 워싱턴 주지사, 에드 머레이 시애틀 시장 등이 참석했다.

미국 재계에서는 보잉,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스타벅스 등 시애틀에 본사를 둔 기업을 비롯해 제너럴모터스(GM), 듀폰, IBM 등 쟁쟁한 기업 CEO들이 대거 참석해 중국과의 협력관계에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이날 만찬 참가비는 3만달러(약 3천600만원)에 달했다고 미국 언론들은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