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사람·환경에 주요한 영향없어” 주장…이달말 공청회
미국이 자국령 괌에 한시로 배치했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를 영구 배치하기 위한 수순에 본격 돌입했다.미 육군은 이달초 괌 지역에 사드를 영구 배치하기 위한 환경영향평가를 마무리하고 오는 25일 현지에서 주민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미군 관계자들이 12일(현지시간) 전했다.
미 육군은 2013년 4월 북한의 무수단 중거리 탄도미사일(BM-25)의 공격 위협이 대두되자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 북서쪽 지역에 사드 기동군 1개 포대를 한시로 배치했다.
미 육군은 그러나 북한의 지속적인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려면 사드의 영구 배치가 불가피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이달초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공개한 뒤 주민들을 상대로 공론화 작업에 들어갔다.
미 육군은 당초 앤더슨 공군기지 북서쪽 지역에 35.7 에이커(14.4 헥타르·약 4만3천700평)에 달하는 석회암 수풀림과 다년생 잡목림을 제거하고 X-밴드 탐지레이더와 발사대를 배치했다. 지원병력은 200명에 달한다.
미 육군은 주민들에게 ▲현 부지에 그대로 영구배치하는 안 ▲55.5에이커(약 6만7천900평)의 추가 부지를 확보해 영구 배치하는 안을 제시해둔 상태이다.
다만, 주민들의 선택에 따라 사드 포대를 괌에서 철수할 수 있는 안도 함께 내놓았다.
미 육군은 주민들에게 공개한 환경영향평가 초안에서 “사람과 자연환경에 주요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리고 주민들의 반응을 청취하겠다고 밝혔다.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따르면 사드에 장착된 탐지 레이더의 강력한 전파로 인해 인력과 장비의 손실이 있을 수 있어 레이더 전방에 독립된 안전지역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사람의 경우에는 100m, 장비의 경우에는 500m, 항공기의 경우 5.5㎞ 이상 접근을 차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괌에 대한 미국의 사드 영구배치 결정과 환경영향평가, 공청회 결과 등은 앞으로 미국과의 사드 배치 협의를 벌일 것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에도 일정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