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시한… 참가국 막판 조율
미국을 비롯한 주요 6개국 외무장관들이 이란과의 핵협상 타결 시한을 하루 앞둔 30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 일제히 집결하면서 협상 타결에 청신호를 켰다고 CNN 등 주요 외신들이 보도했다. 핵협상 참가국 외무장관이 모두 참석하는 전체회의는 지난 24일 막바지 협상 돌입 이후 처음이다. 외신들은 그동안 회담이 미국과 이란의 양자 회담에서 이견을 좁히고 나머지 5개국이 이를 조율하는 방식으로 이어져 왔다며 타결이 임박했다고 해석했다.
로잔 AFP 연합뉴스
이란·6개국 외무장관 막바지 협상
이란 핵 협상 타결 시한을 하루 앞둔 30일(현지시간) 이란과 주요 6개국 외무장관들이 스위스 로잔에 모여 막바지 협상을 위한 전체회의를 준비하고 있다. 의장국 자격의 EU,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과 독일, 이란 국기가 회의장에 게양됐다.
로잔 AFP 연합뉴스
로잔 AFP 연합뉴스
이란 측 실무협상을 맡은 아바스 아락치 외무차관은 “아직 두세 가지 쟁점이 남았지만 협상 타결이 가능하다”고 긍정적 답변을 내놓았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ABC 방송에 출연해 “합의안이 실행 가능하고 이란이 협조한다면 시한 내 핵협상을 타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협상에선 미국 등 주요 6개국과 이란이 ‘이란의 핵 프로그램 규제’와 ‘서방의 대이란 경제제재 해제’를 놓고 의견을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은 현재 농도 20%의 우라늄 186㎏을 보유하고 있다. 핵무기를 제조할 수준은 아니지만 서방은 위험수위로 판단하고 있다. 또 이란은 원심분리기를 1만기가량 요구하다 최근 6000~7000기 수준으로 낮춘 반면 서방은 이를 4000기 정도로 제한하고 있다.
아울러 에너지와 금융 제재를 즉시 풀어야 한다는 이란의 주장과 핵무기를 완전히 포기했다는 확증을 내놓을 때까지 풀지 말아야 한다는 서방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미국은 협상 유효기간을 적어도 20년간 유지해야 한다는 방침이지만 이란은 3∼5년 정도로 정하고 재협상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모두 해묵은 불신 탓이라고 통신은 덧붙였다.
한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란 핵협상을 ‘위험한 합의’라며 반감을 나타내는 한편 예멘의 후티 반군 지원 등 이란의 세력 확장을 경계했다. 영국 더 타임스와 미국 뉴욕타임스도 수니파 아랍국들이 잇따라 핵개발에 나설 것이라며 이 같은 우려를 강조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5-03-3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