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수비대 고위 장교, ‘시위 가능성 예의주시’ 경고
이란 당국이 다음 달 14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인터넷 통제를 부쩍 강화한 것으로 전해졌다.특히 인터넷 속도가 느려져 많은 사람이 불편을 겪고 있다고 중동 현지 일간지 걸프뉴스가 20일 보도했다.
이란 현지 일간지 가눈은 최근 ‘인터넷은 현재 혼수상태’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주요 선거를 앞두고 이 같은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란 현지 통신회사의 한 관계자는 “인터넷 속도가 느려 검색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이메일 체크조차도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란은 지난 2009년 대선 이후 일부 웹사이트가 부정 선거 의혹 제기 등에 활용되자 종종 인터넷 접속을 제한하고 페이스북과 트위터, 미국의 소리(VOA) 방송, BBC 이란어 서비스와 같은 웹사이트를 차단한 전례가 있다.
또 지난해 상반기 새로운 인터넷 감시기구를 창설하고, 최근에는 ‘월드와이드웹’(www)을 대체할 자국 전용 인터넷망 개발을 서두르는 등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3월 이란 당국이 검열을 우회할 수 있는 가상사설망(VPN)을 차단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뤄진 조처다.
이란 국민 7천500만여 명 가운데 인터넷 사용 인구는 절반 정도에 달하며, 일부는 해외에 위치한 사설통신망과 직접 연결해주는 VPN을 이용해 당국의 검열을 피해 왔다.
지난해 3월 총선 이전에도 수차례에 걸쳐 외국 이메일 서비스의 접속이 차단된 바 있다.
그러나 이란 당국은 인터넷 통제 의혹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다만 인터넷 속도가 느려진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고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한편 이란 혁명수비대의 한 고위 장교는 최근 다음 달 대선 전후 시위 발생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혁명수비대의 라술 사나에이라드 대령은 특히 이번 대선이 지방선거와 함께 열려 테헤란에서 시위가 발생하면 전국으로 전파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같이 경고했다고 개혁 성향 일간지 바하르를 포함한 대부분의 현지 일간지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란의 집권 강경 보수 세력은 이번 대선이 지난 2009년 대선과 같이 국내 소요의 빌미를 제공하지 않도록 ‘자유선거’ 용어 사용 금지, 혁명수비대의 대선 개입 시사, 개혁 성향 언론인 단속 등의 조처를 해 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