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독도 문제 중앙 정부 차원으로 격상

일, 독도 문제 중앙 정부 차원으로 격상

입력 2013-02-05 00:00
수정 2013-02-05 1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이 독도 문제 전담 부서를 설치하기로 한 것은 이 문제를 시마네현에서 중앙 정부 차원으로 격상했다는 의미가 있다.
독도 전경. 연합뉴스
독도 전경.
연합뉴스


일본에서 독도 문제가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시마네현 의회가 2005년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조례를 통과시키면서부터다.

한국 정부가 시마네현의 움직임에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한일간 독도 갈등이 심화됐다.

일본 정부는 한동안 이 문제를 시마네현에 맡겨둔 채 직접 관여하지는 않았다. 한일관계를 고려한 것이기도 하지만 당시만 해도 일본 내에서 영토 문제에 대한 관심이 주로 쿠릴 4개섬(일본명 북방영토)에 쏠려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2009년의 중·일간 ‘센카쿠 갈등’을 계기로 상황이 급변했다. 당시 일본측이 자국 순시선과 충돌한 중국 어선 선장을 체포했다가 중국의 반발에 굴복해 처분보류로 석방한 것을 계기로 일본 국민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일본내에서 센카쿠 열도와 독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일왕 사죄 요구 발언이 겹치며 영토 문제 갈등이 폭발했고, 급기야 민주당 정권이 집권 3년만에 보수 자민당에 정권을 내주는 상황까지 빚어졌다. 새로 등장한 정부가 영토 문제를 핵심 과제로 다룰 환경이 조성된 셈이다.

이같은 분위기속에 등장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은 총선 과정에서 꺼내든 ‘다케시마의 날’ 중앙정부 행사 승격이나 독도 문제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 등의 카드를 일단 ‘유보’하는 등 유연한 태도를 보였지만 이번에 ‘영토·주권대책 기획조정실’을 설치하기로 함으로써 정권 지지층인 일본 우익·보수세력과 시마네현의 요구를 수용했다.

이는 이미 민주당 정권의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내각이 지난해 11월말 다케시마 문제 대책팀을 설치했을 때부터 사실상 예고된 것이기도 하다.

한일 외교 관계자는 5일 “영토·주권대책 기획조정실 설치는 일본이 독도를 센카쿠, 북방영토와 묶어 영토문제라는 정권 차원의 핵심과제로 다루기 시작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정권 핵심부가 영토 문제를 직접 챙기는 것은 일본 뿐만이 아니라 중국도 마찬가지다.

중국 공산당은 지난해 9월 ‘해양권익 유지공작 소조’를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산당 관계자는 중국이 기존의 대만 문제 소조에 센카쿠 담당 소조를 추가한 데 대해 “(센카쿠 문제가) 대만 문제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최우선 과제가 됐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말했다고 아사히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청장 ‘찾아가는 현장민원실’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1일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의 ‘찾아가는 현장민원실’에 참석, 북가좌1동과 북가좌2동 주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고 밝혔다. 행사는 오후 2시 북가좌1동을 시작으로 오후 3시 30분 북가좌2동에서 이어졌다. 김 의원은 주민들에게 큰절로 인사를 건네 박수를 받았으며, 특히 김 의원의 거주지인 북가좌1동에서는 더욱 열렬한 박수를 받아 눈시울을 붉혔다. 김 의원은 현장에서 “뉴타운과 올드타운의 민원 차이를 실감했다”라며 “하루빨리 지역이 개발되어 삶의 질이 향상되기를 바라며, 개발 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북가좌1동에서는 북가좌초등학교, 가재울중·고등학교 주변 전동 킥보드 정리, 재건축 6구역 진행 상황, 저층 주거지 내 어르신 쉼터 조성, 수색로 맨발길과 반려견 산책로 환경정리, 교통 복지 관련 관내 셔틀버스 운행, 불광천 산책로 은평·마포구간 비교, 쓰레기 적환 시설, 수색로변 의자 설치와 조명 개선, 중앙공원 어린이 물놀이터 탈의실, 6구역 내 음식물 쓰레기 처리 등 다양한 민원이 제기됐다. 북가좌2동에서는 강북횡단선 북가좌동 정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청장 ‘찾아가는 현장민원실’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