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정부, 머독家와 유착의혹

英정부, 머독家와 유착의혹

입력 2012-04-26 00:00
수정 2012-04-26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차남, 헌트 장관과의 이메일 공개

언론재벌 루퍼드 머독의 불법도청 스캔들 여파가 영국 정부로 옮겨붙을 조짐이다.

루퍼드 머독의 차남인 제임스 머독 뉴스코퍼레이션 부(副) 최고운영책임자는 2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고등법원의 리버슨 조사위원회에 뉴스코퍼레이션과 제러미 헌트 문화부 장관 측이 주고받은 이메일 수십통을 증거물로 제출하며 위성방송 B스카이B 인수 과정에서의 유착 관계를 폭로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불법도청 스캔들로 궁지에 몰린 머독가(家)가 영국 정부와의 부적절한 관계를 까발리며 반격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프레드릭 미첼 뉴스코퍼레이션 홍보책임자가 헌트 장관의 보좌관과 주고받은 이메일에 따르면 헌트 장관 측은 B스카이B 인수와 관련한 의회의 결정 사항을 사전에 불법적으로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뉴스코퍼레이션은 영국 내 미디어그룹인 뉴스인터내셔널을 통해 39.1%인 B스카이B 지분을 100%로 늘리는 작업을 진행하다가 전화 해킹 사건으로 지난해 7월 인수를 포기했다. 법원이 공개한 이메일에는 빈스 케이블 산업경제부장관, 조지 오스본 재무장관의 측근들로부터 얻은 개인적인 정보들도 상당수 포함돼 있었다. 에드워드 밀리밴드 노동당 당수는 “헌트 장관은 머독가의 첩보수집원처럼 행동했다.”며 즉각적인 사임을 촉구했다. 헌트 장관은 이 같은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그러나 헌트 장관의 보좌관 애덤 스미스는 이메일이 공개된 직후 뉴스코프와의 접촉 사실을 시인하고 사퇴했다. 그는 헌트 장관과 무관하게 자신이 단독으로 진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제임스 머독은 2010년 레베카 브룩스 전 뉴스인터내셔널 최고경영자의 집에서 열린 크리스마스 파티 때 캐머런 총리를 만나 B스카이B 인수에 대해 짧게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지만 캐머런 총리는 이를 부인했다.

한편 루퍼트 머독은 25일 열린 리버슨 조사위의 청문회에 출석해 전화 해킹 사건과 취재 윤리 등에 대해 진술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8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에 참석해 수료자들과 정비사업 관련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이번 아카데미는 서대문구 주거정비과에서 기획했다. 서대문구는 오래된 주거지역이 많아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가재울뉴타운과 북아현뉴타운을 비롯해 수십 곳의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아카데미는 조합원의 소중한 자산인 부동산을 깊이 이해하고, 직접 이해관계자로서 자기 자산을 지켜가며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아카데미는 이론과 실무 경험이 풍부한 우수 강사진을 구성하여 ▲정비계획 및 구역지정 절차 ▲조합 추진위의 구성과 운영 ▲조합 임원의 역할 및 소송 사례 ▲정비사업 감정평가의 이해 ▲조합원 분담규모와 관리처분계획 등 정비사업 전반에 걸친 전문적인 강의를 제공했다. 김 의원은 수강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시 조합원들의 종전자산 평가와 분담규모 추산액, 그리고 사업 추진 속도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김 의원은 과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2012-04-2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