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중국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문제로 촉발된 중국인들의 반일 시위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이달 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은 양국 간 고위급 회담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주말인 23일 오후 쓰촨성 더양(德陽)에서 1000여명의 시민들이 또다시 일본 규탄 시위를 벌였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이 24일 보도했다. 시민들은 오후 2시쯤 시내 중심가 광장에서 ‘일본은 댜오위다오에서 떠나라’ 등의 반일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를 앞세우고 집회를 가졌다. 일부 시위대는 도요타, 혼다 등 주차돼 있는 일본 차량을 각목 등으로 파손하는가 하면 경찰과도 충돌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안 당국은 시위도 시위지만 일본 언론들의 집중 취재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본 기자들의 시위 현장 접근을 막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안전’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자극적인 보도 때문에 일본 내 반중감정이 악화될 것을 우려한 조치로 관측된다.
더양과 란저우 이외에 허난성 카이펑(開封), 후난성 창사(長沙), 장쑤성 난징(南京) 등에서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고 중국의 네티즌들이 전하고 있다. 앞서 지난 16일 쓰촨성 청두(成都) 등에서 5만여명이 반일시위를 벌인 데 이어 17일에는 쓰촨성 멘양(綿陽)에서 3만명이 거리시위에 나섰으며 일본계 백화점 ‘화탕’, 일본 라면 체인점 ‘아지센’, 도요타자동차 매장 등이 시위대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주말인 23일 오후 쓰촨성 더양(德陽)에서 1000여명의 시민들이 또다시 일본 규탄 시위를 벌였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이 24일 보도했다. 시민들은 오후 2시쯤 시내 중심가 광장에서 ‘일본은 댜오위다오에서 떠나라’ 등의 반일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를 앞세우고 집회를 가졌다. 일부 시위대는 도요타, 혼다 등 주차돼 있는 일본 차량을 각목 등으로 파손하는가 하면 경찰과도 충돌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안 당국은 시위도 시위지만 일본 언론들의 집중 취재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본 기자들의 시위 현장 접근을 막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안전’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자극적인 보도 때문에 일본 내 반중감정이 악화될 것을 우려한 조치로 관측된다.
더양과 란저우 이외에 허난성 카이펑(開封), 후난성 창사(長沙), 장쑤성 난징(南京) 등에서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고 중국의 네티즌들이 전하고 있다. 앞서 지난 16일 쓰촨성 청두(成都) 등에서 5만여명이 반일시위를 벌인 데 이어 17일에는 쓰촨성 멘양(綿陽)에서 3만명이 거리시위에 나섰으며 일본계 백화점 ‘화탕’, 일본 라면 체인점 ‘아지센’, 도요타자동차 매장 등이 시위대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10-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