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일일시호일/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일일시호일/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19-02-11 22:18
수정 2019-02-12 08: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 영화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을 관람했다. 오모리 다쓰시 감독의 이 영화는 일본에서 40만부 이상 판매된 스테디셀러 에세이 ‘매일매일 좋은 날’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저자 모리시타 노리코가 40년간 다도를 배우며 알게 된 인생을 담은 에세이다. 지난해 타계한 ‘일본의 국민엄마’인 기키 기린의 마지막 유작이어서 영화관에 한걸음에 달려갔다.

일일시호일은 중국 당송오대(唐宋五代)의 승려인 운문문언 스님의 가르침이다. 운문선사는 운문종(雲門宗)을 열어 중국과 일본의 임제선(臨濟禪)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말은 매일매일이 즐겁다는 게 아니라 현재 싫은 일 혹은 좋아하지 않는 일이라도 담담하게 받아들이면 의미 있는 하루가 될 수 있다는 의미에 가깝다. 사서삼경의 하나인 대학(大學)에 나오는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과는 글자는 비슷하지만 뜻은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일신우일신은 주체적으로 노력해 날이 갈수록 새롭게 발전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반면 일일시호일은 기쁜 일이든 슬픈 일이든 일희일비하지 말고 하루의 일상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매 순간 살아가자는 교훈으로 여겨진다. 격렬한 이념대결로 매일 시끄러운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일일시호일은 달관의 경지를 가르치는 듯하다.

jrlee@seoul.co.kr

2019-02-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