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우주어(語)’/박건승 논설위원

[길섶에서] ‘우주어(語)’/박건승 논설위원

박건승 기자
입력 2017-02-23 18:02
수정 2017-02-23 18: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츤데레?’ 포털을 뒤져 보니 일본어 인터넷 신조어라는데 그 뜻이 선뜻 와 닿지 않는다. 이럴 땐 소장파인 딸에게 물어보는 것이 상책. ‘겉으론 쌀쌀맞지만 잘 챙겨 주는 성격의 사람’이란다. 아빠한테 엄마 같은 존재가 그렇다나? 굳이 그런 비유를 하는 걸 보니 역시 가재는 게 편. 지난해 포털 이용자가 가장 많이 찾아본 말이라는데 왜 몰랐을까. 나도 ‘낄낄빠빠’(낄데 끼고 빠질 때 빠지는 것) 수준은 되는데…. 며칠 전 ‘드립질’의 뜻을 알고 나서 옆지기에게 그게 뭔 말인지 아느냐고 살짝 떠봤다. “커피 드립…?” ‘주부다운’ 대답이다.

하나를 알았다 싶으면 또 새로 등장하는 신조어. 그런 세태를 마냥 나무랄 일은 못 된다. 시대상을 보여 줄 뿐 이내 곧 소멸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우주여행에 필요한 러시아어를 ‘우주어’라고 한다지만 나는 이런 신조어를 ‘우주어’로 부르기로 했다. UFO처럼 스쳐 지나가는 듯하다는 의미에서다. 얼마나 갈지 모르지만 우주어를 하나씩 배워 볼 참이다. 세상과의 소통이 필요해서라는 것은 명분일 뿐. 실은 이런 말을 내놓는 이들의 톡톡 튀는 발상이 어디까지 이어지는 지를 알아보고 싶어서다. ‘우리말 지킴이들’께는 죄스러운 고백이다.

박건승 논설위원 ksp@seoul.co.kr
2017-02-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