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동화책/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동화책/정기홍 논설위원

정기홍 기자
입력 2015-02-25 01:00
수정 2015-02-25 0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밤늦게 동화책 두 권을 읽었다. 호랑이와 곶감 이야기, 첫날밤에 방귀 뀌고 소박맞은 색시 이야기 등 전래 동화와 외래 동화를 조각 내 역은 책이다. 이야기는 스무 가지가 너끈히 됐다. 도깨비방망이 글을 읽을 땐 “금 나와라 뚝딱!” 하면 금은보화가 금방 쏟아질 것만 같다. 나이 오십줄에 야밤을 마다하고 동화책을 잡은 건 누가 봐도 어깃장이다. 다 아는 허구의 이야기가 재미있다. “이 나이에 읽어야 할 책”이라며 고개를 제법 끄덕여 보았다. 무엇보다 풀어 놓는 이야기들이 솔직한 게 맛이다.

책꽂이에 버린 자식처럼 꽂아 둔 동화책의 재발견이다. 뽑아들었으니 망정이지 십수 권의 동화책을 애가 있는 친척에게 몽땅 줄 뻔했다. 만 가지 버릴 것 없다는 건 진리다. 생각을 거둬야 하겠다. 작고한 동화작가 정채봉씨는 “동화책은 ‘정신적 칼슘’과 같다”고 평을 했다. 아이의 물렁한 뼈가 칼슘으로 단단해지듯 동화가 정신적인 뼈대를 만든다는 뜻이다. 오드득 하는 무릎뼈 소리가 심심찮게 들린다. 이쯤에서 동화책과의 만남은 필연인가. 칼슘을 보충해 좀 제대로 살라는 것 아닌가. 외출길에 동화책을 낀 모습을 생각해 본다. 그러면 착하고 젊은 어른이 될까.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2-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