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경희의 동네 서점에 숨다] 학술서점과 자연의 말/문학평론가

[윤경희의 동네 서점에 숨다] 학술서점과 자연의 말/문학평론가

입력 2022-10-24 20:06
수정 2022-10-25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윤경희 문학평론가
윤경희 문학평론가
코로나 시기에 여행 횟수가 줄었다. 이전에는 몇 개월에 한 번이나마 붙박인 곳을 벗어나 멀리 다녀오곤 했다. 주로 사원이나 고적지가 있는 곳으로 숙소를 물색하고 교통편을 예약한 뒤 출발일이 다가오기까지 설레는 마음을 가다듬는 것도 여행의 의례였다.

그러다 작년 가을부터 차츰 여행을 재개하게 됐다. 황량하도록 드넓은 옛터와 오래된 성소에서 자신을 비워 내려고가 아니라 사람들과 만나 일을 하기 위해서였지만, 그래도 이동의 쾌락을 다시 느끼니 심신에 활기가 돌았다.

지난여름에는 핀란드에 다녀왔다. 예산과 시간이 빠듯했지만, 이번이 아니면 이처럼 낯선 곳에 언제 다시 가게 될지 모르기에 기회를 놓칠 수 없었다. 떠나기 전에 일정표를 짜면서 지역 서점도 검색해 보았다. 시간을 견디고 살아남는 것에 존경심을 품는 사람이라면 1893년에 열었다는 아카테미넨서점을 방문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서점에서 무슨 책을 구할지는 정하지 않았다. 핀란드 문학사를 미리 공부하거나, 판매량이 많지 않아도 독특하고 실험적인 글쓰기를 하는 동시대 작가를 조사할 수도 있었지만, 일부러 그러지 않았다. 아무 선입견 없이 순수한 발견의 기쁨을 누리고 싶어서였다.

숙소는 250년 넘은 붉은 목조주택의 방 한 칸이었다. 주소지가 헬싱키였는데도 마을이 숲, 덤불, 강으로 둘러싸여서 한 국가의 가장 큰 도시가 아니라 시골의 친척집에 놀러 간 것 같았다. 낮에는 국립공원 트레킹을 하고, 저녁에는 집 근처 덤불 숲을 산책하거나 정원에서 산딸기를 따 먹었다. 집주인의 자전거를 빌려 타고 숲을 지나 강가에서 수영을 하기도 했다. 인간의 생활권 안에서 자연의 힘이 센 지역에 머물다 보니 구하고 싶은 책도 마음속에 저절로 그려졌다. 북구의 숲에 관한 책, 그리고 핀란드 고유의 야생종 식물에 관한 책. 나는 그것이 있기를 바라며 아카테미넨서점에 갈 날을 고대했다.

널찍하고 쾌적한 서점에서 식물 서가를 발견하기란 어렵지 않았다. 핀란드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해 수많은 책들 중에 내가 정확히 원하는 것을 분간할 수 없었을 뿐이다. 휴대전화에서 번역 기능을 실행하는 대신 다른 손님들에게 도움을 청하기로 했다. 여성 청소년 두 명이 내가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내미는 책마다 흔쾌히 제목을 알려 주고 서문도 한 줄씩 독해해 주었다. 그리하여 나는 이 학술의 서점에서 자연의 언어를 새로 배운다. 키리아는 책, 쿠카는 꽃, 카스비는 식물, 켄타는 들판, 그리고 멧사는 숲. 말들은 이상하리만치 깨끗하게 느껴지고, 그래서 말들이 옮겨지는 가운데 나는 이방인이라기보다는 다시 아기가 되는 것 같다.

나는 야생화도감과 삼림식물도감을 골랐다. 그리고 두 사람과 헤어진 뒤 표지만으로도 끌리는 어린이 그림책 하나도 가방에 넣었다. 단풍나무 열매의 압화 표본이 찍힌, 멧사무이스티키리아라는 책. 멧사는 숲이고 키리아는 책이라고 배웠는데, 그렇다면 무이스티는 무얼까. 여행에서 돌아와 찾으니 기억이라 한다. 숲을 기억하는 책.
2022-10-2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