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빈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을 취재하던 한국 사진기자들이 중국 측 경호 요원들에 의해 집단 폭행을 당했다. 이에 외교부는 중국 정부에 즉각 유감의 뜻을 전하고 사건 진상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청했다고 한다.
한국의 사진기자가 14일 오전 베이징 국가회의 중심 B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 ‘한·중 경제·무역 파트너십 개막식’에서 스타트업관으로 이동 중에 중국 측 경호원에게 일방적으로 폭행을 당해 쓰러져 있다. 2017. 12. 14 베이징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의 사진기자가 14일 오전 베이징 국가회의 중심 B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 ‘한·중 경제·무역 파트너십 개막식’에서 스타트업관으로 이동 중에 중국 측 경호원에게 일방적으로 폭행을 당해 쓰러져 있다. 2017. 12. 14 베이징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14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정부는 오늘 우리 측 기자가 취재 과정에서 부상을 입은 불상사가 발생한 데 대해 대단히 유감으로 생각한다”면서 “현장에서 바로 응급조치가 이뤄졌으며, 한국 정부는 중국 정부에 즉각 유감의 뜻을 전하고 사건 진상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해줄 것을 강력 요청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다. 중국 외교부의 루캉 대변인은 “초보적 이해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문재인 대통령 방중에 맞춰 한국 측에서 주최한 자체 행사다. 비록 한국이 주최했어도 중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큰 관심을 표명한다”면서 “더 자세한 사항은 한국 주최 측에 알아보겠다. 작은 사고이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중 양국의 관련 부분 각 방면은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 준비를 위해 모두 노력했다. 한·중 양국은 이번 방중이 원만한 성공을 거두기를 바라는 목표는 일치한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