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지분 63.9% 취득 예정
4년 만에 통합… 美 심사만 남아
대한항공이 오는 11일 아시아나항공 신주 취득을 끝으로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한다. 2020년 11월 시작된 두 기업의 합병 과정이 4년 만에 종료되면서 통합 대한항공은 세계 10위권 ‘메가 캐리어’(초대형 항공사)로 거듭날 예정이다.대한항공은 11일 아시아나항공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신주 약 1억 3158만주(지분율 63.9%)를 취득할 예정이라고 3일 공시했다. 주식 취득 금액은 약 1조 5000억원으로, 대한항공은 2020년 납입한 계약금·중도금 7000억원을 제외한 잔금 8000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신주 인수는 통상 기업 합병 절차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 이뤄진다. 잔금 투입까지 마무리되면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의 최대 주주가 되고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의 자회사가 된다. 대한항공은 합병 이후 2년 동안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운영하고 이후 ‘통합 대한항공’을 출범할 예정이다. 두 회사가 합병하면 총 226대의 항공기를 가진 초대형 항공사가 된다. 증권가에서는 합병 이후 통합 대한항공의 적정 시가총액을 13조원으로 예측했다.
남은 건 미국 법무부(DOJ)의 승인 여부다. 대한항공은 2021년 1월 기업결합을 신고한 14개 ‘필수 신고국’ 중 미국을 제외한 13개국의 승인을 마쳤다. 대한항공은 지난달 28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최종 승인 내용을 미 법무부에 보고했다. 미 법무부가 두 회사의 합병에 대해 독과점 소송을 제기하지 않는다면 대한항공은 14개 필수 신고국의 승인을 모두 받게 된다. 업계에서는 EU의 최종 승인으로 미국 심사도 종료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본다.
두 항공사가 가진 저비용항공사(LCC)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 3곳도 통합될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LCC의 생존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선 3사의 통합 운영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대한항공은 “구체적인 일정은 LCC 3사가 상호 협의해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4-12-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