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 제공
LH의 경남 진주시 본사 사옥 전경. LH는 올해 공공부문 최대인 10조원 규모의 공사·용역 발주를 추진하고 있다.
LH 제공
LH 제공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6조원, 지방이 4조 1000억원이다. 인천·경기가 각각 2조 2000억원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1조 6000억원, 대전·충남 1조 2000억원, 세종시 9000억원, 부산·울산 5000억원, 전북·경남 각 4000억원 등으로 뒤를 이었다. 사업 분야별로는 택지 공급을 위한 토지 사업(16㎢)에 2조 8000억원, 공공주택 공급 확대(7만 5000호) 등을 위한 건설 사업에 7조 3000억원이 배정됐다.
특히 대규모 공사·용역 발주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공종별로는 건축·토목 공사가 각각 5조 9000억원, 1조 6000억원으로 전체의 73% 정도를 차지한다. 이어 전기·통신 공사 1조 5000억원, 조경 공사 6000억원 등이다.
LH 관계자는 “토지·건설 사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는 일반 산업의 1.5배가 넘는다”면서 “전반적인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줄어들고 있지만 LH는 주거복지 로드맵 목표 달성, 일자리 창출 등 정부 정책을 차질 없이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9-03-2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